의약외품 전환 품목 6개월간 부작용 보고 없어
지난해 7월 일반의약품에서 대형마트나 편의점에서 살 수 있는 ‘의약외품’으로 전환된 박카스 등의 생산량이 대체로 늘고 소비자의 접근성도 개선됐지만, 부작용 보고는 아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1/29/SSI_20120129134334.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1/29/SSI_20120129134334.jpg)
지난해 7월 21일 ‘의약외품 범위지정’ 고시 개정을 통해 액상소화제·정장제·외용연고제·파스·자양강장드링크류 48개 의약품을 의약외품으로 바꿀 당시 실제 유통되 되고 있던 품목은 18개였으나, 이후 박카스F 등 5개가 추가로 생산돼 현재 시중에는 23개 품목이 유통되고 있다.
작년 말 기준으로 전국 2만800개 편의점 가운데 98%, 444개 대형마트의 90%에서 1개 이상의 의약외품 전환 품목을 팔고 있었다.
그러나 전환 이후 지금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청에 관련 의약품의 부작용이 보고된 사례는 없었다.
전환에 따른 동네 약국의 매출 감소 등 피해도 크지 않다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일부 일반의약품의 의약외품 전환으로 소비자의 편의가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식약청 등과 함께 지속적으로 부작용에 대해 모니터링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의약외품 전환 의약품 공급 현황(2011년 12월 말 기준)>
시중 공급(23개) | 미생산(25개) | |||||
연번 | 제품명 | 회사명 | 연번 | 제품명 | 회사명 | |
자양 강장 변질제 (12개) | 1 | 박카스D | 동아제약 | 1 | 영진구론 산바몬드 에스 | 영진약품 |
2 | 박카스F | 2 | 아미나젤 액 | |||
3 | 알프스D | 동화약품 | 3 | 다넥스액 | ||
4 | 삼성구론 산D | 삼성제약 | 4 | 활원액 | 동화약품 | |
5 | 박탄F | 5 | 리점프액 | 삼성제약 | ||
6 | 유톤액 | 유한양행 | - | |||
7 | 타우스액 | 일양약품 | ||||
액상 소화제 (18개) | 1 | 생록천액 | 광동제약 | 1 | 카보명수 | 조선무약 |
2 | 광동위생 수액 | 2 | 기명수 | |||
3 | 까스명수 액 | 삼성제약 | 3 | 솔표까스 솔청수 | ||
4 | 까스명수 골드액 | 4 | 위솔액 | |||
5 | 까스일청 수액 | 일화 | 5 | 쿨명수액 | 동화약품 | |
6 | 위청수액 | 조선무약 | 6 | 위쿨액 | ||
7 | 솔청수액 | 7 | 까스활명 수라이트 액 | |||
- | 8 | 까스활명 수소프트 액 | ||||
9 | 까스허브 명수액 | 삼성제약 | ||||
슈넬생명 과학 | ||||||
외용 연고제 (5개) | 1 | 마데카솔 연고 | 동국제약 | 1 | 센텔레이 즈연고 | 태극약국 |
2 | 센텔라제 연고 | 유유제약 | 2 | 카스칼크 림 | 목산제약 | |
3 | 안티푸라 민 | 유한양행 | - | |||
파스 (2개) | 1 | 대일시프 쿨 | 대일화학 | 1 | 대일시프 핫 | 대일화학 |
정장제 (11개) | 1 | 신비오페 르민에스 정 | 동아제약 | 1 | 락토메드 산 | 일동제약 |
2 | 청계미야 비엠정 | 청계제약 | 2 | 락토메드 정 | ||
3 | 청계미야 캅셀 | 3 | 청계미야 더블유정 | 청계제약 | ||
4 | 미야리산 유정 | 한독약품 | 4 | 청계미야 비엠산 | ||
5 | 강미야리 산정 | 5 | 청계미야 정 | |||
- | 6 | 헬스락토 정 | 협진무약 |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