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비맥주가 하이트진로에 뺏긴 정상을 15년 만에 되찾았다.
4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0월 카스 등 오비맥주 전체 제품의 출고량(수출 포함)은 7794만 500상자로 시장점유율 50.22%를 기록했다. 하이트진로의 출고량은 7725만 7400상자로 점유율이 49.78%였다. 오비맥주가 총 출고량 누계에서 하이트맥주를 앞지른 것은 1996년 이후 처음이다. 오비맥주는 1996년 ‘천연 암반수’ 개념을 들고 나온 하이트 제품에 밀려 정상을 내줬다.
오비맥주의 이러한 선전의 일등공신은 카스였다. 지난해 1∼4월만 해도 양사의 주력 제품인 카스와 하이트의 월별 출고량은 엎치락뒤치락하다가 5월부터 카스가 앞서기 시작했다. 지난해 5월 카스는 662만 상자, 하이트는 609만 상자였고 8월에는 카스가 799만 상자, 하이트가 570만 상자를 기록하면서 격차가 더욱 커졌다.
하지만 오비백주는 하이트진로가 작년 8월 이후 세무조사가 연장되고 있고 맥주(하이트)와 소주(진로)의 통합 작업에 따른 혼선으로 영업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데 따른 반사이익에 지나지 않는다고 스스로 분석하고 있다.
오일만기자 oilman@seoul.co.kr
4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0월 카스 등 오비맥주 전체 제품의 출고량(수출 포함)은 7794만 500상자로 시장점유율 50.22%를 기록했다. 하이트진로의 출고량은 7725만 7400상자로 점유율이 49.78%였다. 오비맥주가 총 출고량 누계에서 하이트맥주를 앞지른 것은 1996년 이후 처음이다. 오비맥주는 1996년 ‘천연 암반수’ 개념을 들고 나온 하이트 제품에 밀려 정상을 내줬다.
오비맥주의 이러한 선전의 일등공신은 카스였다. 지난해 1∼4월만 해도 양사의 주력 제품인 카스와 하이트의 월별 출고량은 엎치락뒤치락하다가 5월부터 카스가 앞서기 시작했다. 지난해 5월 카스는 662만 상자, 하이트는 609만 상자였고 8월에는 카스가 799만 상자, 하이트가 570만 상자를 기록하면서 격차가 더욱 커졌다.
하지만 오비백주는 하이트진로가 작년 8월 이후 세무조사가 연장되고 있고 맥주(하이트)와 소주(진로)의 통합 작업에 따른 혼선으로 영업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데 따른 반사이익에 지나지 않는다고 스스로 분석하고 있다.
오일만기자 oilman@seoul.co.kr
2012-01-0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