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물가지수로도 올해 4%상승 韓銀 금리인상 실기론 등 대두
물가당국인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가 올해 물가관리에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새로운 지수를 기준으로 할 때 작년 대비 4.0%(잠정치)를 기록했다. 금반지 등을 포함하는 옛 지수 기준으로는 4.4% 정도 상승한 것이다.한은은 29일 발표한 ‘2011년 물가안정목표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올해 연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3%보다 1% 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12월 상승률 예상치는 4% 초반이다. 올해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은의 목표 허용폭(3%±1%P)을 벗어난 횟수도 사실상 역대 최다였다. 신 지수 기준으로는 올해 들어 여섯 차례, 구 지수 기준으로는 10월을 제외하고 줄곧 4%를 넘은 것이다. 한은은 국제유가 급등 같은 공급요인이 소비자물가 상승을 주도했다고 분석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좀 더 일찍 정상화했더라면 물가를 상당부분 억제할 수 있었다는 ‘금리 인상 실기론’이 제기된다. 한은은 6개월째 기준금리를 3.25%로 유지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는 옛날 지수 기준으로 본다면 금반지 등 갑작스러운 요인 때문에 물가가 많이 올랐으며, 이런 상황은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12-3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