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개발원은 28일 한국인의 민영 개인연금보험 가입률이 고령화가 진행된 선진국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통계청 자료 등을 토대로 이뤄진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민영 보험사의 개인연금보험 가입률이 전체 인구 대비 15.8%에 불과했다.
연령별로는 40대가 24.7%, 30대가 23.7%로 높았고 60세 이상 고연령층은 4%로 저조했다.
이 수치는 고령화 문제를 이미 겪은 독일, 미국 등 선진국의 53~64% 수준이다.
실손의료비 보험 가입률도 46.8%로 낮았다. 연령별로는 남녀 모두 10대 미만 고객 가입률(남 65.0%, 여 62.3%)이 가장 높았고, 60세 이상 가입률(남 15.3%, 여 9.1%)은 최저였다.
생명보험이나 장기손해보험 가입률은 75.4%에 달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정부가 재정의 한계로 감당하기 어려운 노년층 의료비와 소득 수요를 민영보험으로 보완할 수 있게끔 세제 지원을 늘려야 한다. 보험사들도 고령층의 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특화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통계청 자료 등을 토대로 이뤄진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민영 보험사의 개인연금보험 가입률이 전체 인구 대비 15.8%에 불과했다.
연령별로는 40대가 24.7%, 30대가 23.7%로 높았고 60세 이상 고연령층은 4%로 저조했다.
이 수치는 고령화 문제를 이미 겪은 독일, 미국 등 선진국의 53~64% 수준이다.
실손의료비 보험 가입률도 46.8%로 낮았다. 연령별로는 남녀 모두 10대 미만 고객 가입률(남 65.0%, 여 62.3%)이 가장 높았고, 60세 이상 가입률(남 15.3%, 여 9.1%)은 최저였다.
생명보험이나 장기손해보험 가입률은 75.4%에 달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정부가 재정의 한계로 감당하기 어려운 노년층 의료비와 소득 수요를 민영보험으로 보완할 수 있게끔 세제 지원을 늘려야 한다. 보험사들도 고령층의 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특화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