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 “펀드매니저 세계 경기전망 악화”

FT “펀드매니저 세계 경기전망 악화”

입력 2011-05-18 00:00
수정 2011-05-18 11: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펀드매니저들의 세계경제와 기업 수익성에 대한 신뢰가 낮아지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8일 보도했다.

FT는 BofA 메릴린치가 이달 펀드매니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10%만이 세계경제가 나아질 것이라고 대답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월의 58%에서 대폭 줄어든 수치다.

기업 이익이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인원은 전체의 9%에 그쳤다.

설문에 응한 펀드매니저는 284명으로 이들이 운용하는 자산 규모는 총 8천140억 달러(887조 원)였다.

지난달만 해도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부터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했으나 선진국 경기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로 이달에는 응답자의 73%가 내년부터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답했다.

닉 가트사이드 JP모건 자산운용 채권담당 CIO는 “선진국의 경제 성장 전망치가 점차 내려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올해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올 초 4%였으나 공식적인 전망치는 1.8%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펀드매니저는 가장 큰 ‘꼬리 위험(tail risk)으로 유럽의 재정위기를 꼽았다. 꼬리위험이란 일어날 가능성은 작지만 한번 일어나면 자산가치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는 사건을 말한다.

그리스의 구조조정을 가장 큰 위험이라고 답한 비중은 지난달 21%에서 이달 36%로 증가했고, 전체 응답자의 8%는 유럽경제가 내년에 회복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미국의 제로 금리 정책이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위험자산 선호도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국경제 성장이 더뎌질 것이며 브라질에 대한 신뢰도도 낮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신흥국 시장의 주식 투자비중은 오히려 늘린 것으로 확인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