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도 서비스 중, LG U+는 5월부터
2.4㎓ 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기존 와이파이보다 더 빠르고 쾌적한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 5㎓ 대역 와이파이 존이 본격 활성화된다.SK텔레콤은 23일부터 강남과 신촌에서 5㎓ 티(T) 와이파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2일 밝혔다.
앞서 KT도 지난 1월부터 2.4㎓와 5㎓를 함께 사용하는 ‘프리미엄 와이파이 존’을 구축해 숙명여대ㆍ홍익대ㆍ서울대 등 3개 대학과 서울대입구ㆍ종로3가ㆍ삼성 등 6개 지하철역, 코엑스와 여의도 증권가 등의 90개 빌딩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5㎓ 대역은 2.4㎓와 마찬가지로 누구나 규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공용 주파수 대역이지만 아직 이용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주파수 간섭이 적어 빠른 속도로 이용할 수 있는 ‘블루오션’으로 간주됐다.
SK텔레콤은 기존 2.4㎓ 와이파이의 실제 속도가 약 15Mbps였지만 5㎓ 와이파이는 이보다 최대 5배 빠른 70~80Mbps의 속도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800MB짜리 영화 한 편을 내려받는 시간을 기존 7분에서 1분40초로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KT는 프리미엄 와이파이에 신규 솔루션을 적용해 기존 30명이었던 동시 접속자 수를 최대 108명으로 늘리고, 속도를 기존 0.8∼10Mbps에서 7∼40Mbps로 최대 8배까지 올릴 수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혼신이 적고 속도와 동시접속 용량이 개선된 5㎓ 와이파이 이용이 많아지면 와이파이 이용자가 분산돼 2.4㎓ 대역 이용 환경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5㎓ 와이파이는 갤럭시탭, 아이패드 등 태블릿PC와 5㎓ 와이파이 칩셋이 장착된 노트북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U+) 역시 오는 5월부터 5㎓ 와이파이를 구축하고, 와이파이 빌리지 등 전국에 와이파이 망을 확대할 방침이다.
5㎓ 와이파이 존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신기술 개발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SK텔레콤은 “5㎓ 와이파이 존은 신기술인 ‘하이브리드(Hybrid) AP’로 실외의 초고속인터넷 케이블을 실내로 끌어오는 회선 공사 없이 간편하게 구축했다”며 “독자 개발한 이 기술을 활용해 와이파이 존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KT도 자체 개발한 프리미엄 와이파이 관련 기술 4가지를 특허출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