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 대안
경제 전문가들은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국내 산업의 자생력 등 부품소재 수급의 체질을 강화하자고 주문하고 있다. 일본 ‘지진 리스크’ 확산을 국내 부품소재 부문의 ▲국산화율 제고 ▲공급선 다변화 ▲일본 부품업체의 국내 유치 등 경쟁력 강화 기회로 삼자는 제안이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22/SSI_20110322033355.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22/SSI_20110322033355.jpg)
윤상하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동일본 대지진 여파로 글로벌 부품소재 공급기지인 일본의 역할에도 변화가 예상된다.”며 “부품소재 산업의 주요 시설을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일본에 두기보다는 수입 비중이 높은 한국이나 중국 등 인접 국가로 전환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며 글로벌 분업 구조의 변화를 전망했다.
그는 “지진 등 재난 리스크 요인이 커진 만큼 일본 기업들도 생산 설비의 탈(脫)일본을 근본적으로 검토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주요 부품소재 산업을 국내로 유치하는 방안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대일 수입 비중은 1995년 고베대지진 때의 24.6%에서 현재 15.3%로 크게 낮아졌다. 그러나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는 수출상품 제조용 원자재 비중은 고베대지진 때의 3.7%에서 현재는 평균 4.4%로 높아졌다. 동일본 대지진 파장이 국내 부품소재 공급에 타격을 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윤 책임연구원은 “글로벌 부품소재 주요 공급기지인 일본과 독일에 대한 기술격차로 단기간 국내 생산 대체가 쉽지 않다.”면서도 “지진으로 인한 아시아 역내 분업구조의 재편을 주시하며 우리 산업도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성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장기적으로 국내 부품소재 기업을 육성해야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재고관리와 공급선 다양화 시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 연구위원은 “부품소재 공급 루트를 국내, 제3국, 일본 그리고 일본 내 다른 기업이나 다른 지역 기업 등으로 다양화해 수급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부품 독자개발 적극 지원을”
이치호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일본의 전력 공급이 불안하고 물류가 막혀 일본에서 부품소재를 들여오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반도체, 디스플레이의 경우 일본 생산시설이 큰 타격을 받지 않아 곧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부품소재의 경우 중소기업 역량이 중요하지만 일본보다 우리 경쟁력이 떨어지는 게 문제”라며 “정부가 국내 부품소재의 독자적 개발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이폰5 출시 미뤄질 수도
글로벌 업체들도 일본산 부품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아이폰 부품의 34%를 일본에서 조달하고 있는 애플은 당장은 비축 재고가 충분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지진 여파가 향후 2~3개월까지 장기화될 경우 타격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올 상반기로 예상되는 아이폰 5의 출시 시기가 미뤄질 수도 있다. 대일 의존도가 높은 타이완 정부는 전자·정보기술(IT) 부품 관세를 낮추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미국 GM 등은 공장 가동 단축으로 대응하고 있다.
안동환·류지영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03-22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