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경제 장기적 부정적 영향”

“韓경제 장기적 부정적 영향”

입력 2011-03-17 00:00
수정 2011-03-17 10: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국계 투자은행(IB)들은 일본 대지진이 일시적으로는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17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모건스탠리와 BOA 메릴린치는 한국의 대일(對日) 수출입 비중이 작아 일본 지진사태가 당장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면서 “일부 산업은 일본기업 생산중단으로 일시적 반사이익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대일 수출 비중이 6%에 불과했고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관광산업 역시 국내총생산(GDP) 비중의 1%에 불과하다는 점을 그 이유로 설명했다.

또 “일본 기업들이 상품 공급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여 반도체, 철강 등 일부 한국 수출기업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이 일시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결국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견해다.

IB들은 “지진피해 복구를 위해 일본 정부가 적극적으로 정책대응을 하거나 지진 사태가 장기화되면 엔화약세에 따른 한국기업의 수출경쟁력 약화, 부품조달 차질에 따른 제조기업의 생산차질 등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해 대일 수입 비중은 15.1%에 불과했지만, 부품수입 비중은 25%에 달해 이번 지진사태로 부품수입에 장기간 차질을 빚는다면 조선, 자동차, 철강 관련 제조기업들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에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대일 수입수산물 비중은 지난해 기준으로 7.2%에 불과하나 수입수산물 가격 상승은 이미 높은 상승세를 지속하는 식품가격에 추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해 물가 고점 시기가 늦춰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