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호주채권 8조엔 투자… 회수땐 금리 요동

日, 호주채권 8조엔 투자… 회수땐 금리 요동

입력 2011-03-17 00:00
수정 2011-03-17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가 호주를 주목하는 까닭은

동일본 대지진이 원전 사태로 이어지면서 단순 자연재해에서 경제적 불확실성이 큰 ‘글로벌 악재’로 돌변했다. 안전자산 선호로 ‘와타나베 부인’(일본의 해외 자산 개인 투자자)들이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일본에서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 다른 나라에 투자한 자금)을 청산하면서 엔화 강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메인 게임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일본 정부와 기관 투자가 등 ‘큰손’들이 복구 자금을 위해 해외 투자를 본격적으로 거둬들이는 시점에서 엔화 강세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회수 규모에 따라 미 시중 금리뿐 아니라 세계 각국 금리가 상승하면서 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될 공산이 크다.

이미지 확대
세계 시장은 그 시점을 가늠하기 위해 일본이 대규모로 투자해 놓은 호주 채권의 약세(금리 상승) 전환에 주목하고 있다.

일본의 해외 투자는 채권에 몰려 있다. 1.3%에 불과한 자국 국채 금리에 만족할 수 없어서다. 2000년부터 올 1월까지 채권, 주식, 부동산 등 일본의 총 해외 투자 규모는 185조 5280억엔(약 2599조원)이고, 이 중 채권 투자는 161조 8100억엔(약 2266조원·87.2%)에 이른다.

국가별로는 미국 채권시장에 가장 많은 56조 2920억엔(약 788조원)을 순투자했고, 영국(13조 3880억엔·약 187조원), 호주(8조 4380억엔·약 118조원), 프랑스(6조 3730억엔·약 89조원), 독일(5조 120억엔·약 70조원) 순이다. 일본 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복구 자금을 위해 채권을 팔기 시작하면 미 채권 금리를 중심으로 각국의 금리가 따라 오를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한 이유다.

전문가들은 아직 본격적인 엔화 강세로 보지 않는다. 호주 채권 금리가 일본이 복구 자금을 위해 유동성을 본격적으로 회수하는 시점을 보여 준다는 것이다.

일본은 해외 채권 투자 시 세계 시장에서 각국의 채권 비율을 나타내는 WGBI(World Government Bond Index)를 이용한다. WGBI의 호주 비중은 0.76%이지만 일본은 7배가 넘는 5.2%를 투자한 상태다. 유동성이 높지 않은 호주 채권 시장 규모에 비해 일본의 투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많다.

미국과 영국은 각각 기준금리가 0~0.25%와 0.5%로 저금리인 반면, 호주는 4.75%로 투자 이익률이 훨씬 높기 때문이다. 이 같은 까닭에 일본에서 발행되는 해외통화표시채권인 ‘우리다시’(Uridashi) 중 호주달러화 표시채권에 투자한 개인 투자금도 1조 2141억엔(약 16조원)에 달한다. 호주는 일본의 수입 대상국 중 중국, 미국에 이어 3위 국가로 일본 국민들에게도 친숙하다.

홍정혜 신영증권 채권 애널리스트는 “최근 일본 지진으로 브라질 시장의 경고음이 들려오지만 호주는 가장 크게 투자가 이루어진 곳”이라면서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시점을 찾기 위해 다소 강세를 보이고 있는 호주 국채가 약세로 전환되는 시기에 대해 많은 투자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3-1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