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 중심지 뿌리내릴수 있을것” “컨소시엄 다양한 참여기회 보장”
국내 업계는 이번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유전 개발권 확보에 대해 일제히 환영하는 분위기다. 안정적인 원유 공급이 가능해진 동시에 정부와 함께 사업에 뛰어들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 기업과 건설업계가 특히 반색하고 있다.●“에너지 안보 크게 높아질 것”
석유협회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자원 확보 전쟁이 치열한 가운데 장기적인 원유 공급이 가능해지면서 에너지 안보가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업체들도 환영 의사를 밝혔다. 정부와 업체들은 지금껏 산유국과 선진국, 석유 메이저들의 벽에 막혀 ‘메이저리그’인 중동 지역의 유전 개발을 하지 못하고 동남아나 남미지역 위주로 진출해 왔기 때문이다.
한 정유사 관계자는 “대안 지역은 유전 규모가 크지 않고, 성공 가능성도 낮아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기 어려웠다.”면서 “그러나 이번 유전 확보로 원유 개발 중심지인 중동 지역에 뿌리를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신중론도 상당하다. 구체적인 계약 조건이나 경제성, 로열티 규모 등 세부 내용을 검토해야 수익성을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건설업계 역시 UAE 대형 유전개발 소식을 호재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민간 기업 등을 대상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한다면 다양한 참여기회가 보장되기 때문이다.
●“유전개발 원천기술 습득 기회”
국내 건설업체 가운데 원유나 가스 개발 등과 관련된 정유·플랜트·유화 시설 등의 전문 시공능력을 지닌 곳은 현대건설과 대림건설, GS건설, SK건설, 한화건설 등 5~6곳 안팎으로 알려져 있다.
한 대형 건설업체 관계자는 “컨소시엄에 합류해 관련 시설 시공 기회 얻는다면 위축된 건설업계가 반전을 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원유를 추출해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PE)을 만드는 고부가가치 영역까지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지대영 현대엔지니어링 상무는 “외국 거대 자본이 독점해 온 유전 개발시장에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참여한다면 원천기술 습득의 기회가 된다.”면서 “파이낸싱, 자재구매, 시공, 운전 등의 기법을 끌어올리고 중동시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두걸·오상도기자 douzirl@seoul.co.kr
2011-03-1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