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출신 통신CEO ‘2인의 전쟁’

장관 출신 통신CEO ‘2인의 전쟁’

입력 2010-01-06 00:00
수정 2010-01-0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0년 새해 통신업계의 화두는 전직 정보통신부 ‘장관의 대결’로 모아진다. ‘장관 출신의 KT 최고경영자(CEO)’ 대 ‘KT CEO 출신의 전직 장관’의 모양새다.

이미지 확대
이석채(65) 현 KT 회장과 이상철(62) 통합 LG텔레콤 대표이사 부회장 내정자를 이르는 말이다. 이 내정자가 6일 공식 대표로 취임한 뒤에 두 거물의 본격적인 힘겨루기가 전개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CEO는 전직 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냈다. 이 회장이 1996년, 이 내정자는 2002~2003년에 재임했다. 이 회장은 재직 당시 개인휴대통신(PCS) 3사를 선정하고 정통부에 정보화기획실을 마련했다. 이 내정자도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과 와이브로(무선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두 사람은 올해 통신시장의 대세인 ‘융합(컨버전스) 주도권 쟁탈전’ 속에서 한판 승부가 불가피한 형편이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 4일 각각 신년사를 통해 융합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회장은 “컨버전스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해 고객 기반을 확대하고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아이폰과 쇼옴니아 등 스마트폰 비중을 늘리고 매출 20조원, IPTV(인터넷 TV) 200만명 돌파를 자신했다. 이 내정자는 “한계에 직면한 통신시장에서 미래성장 동력을 발굴해 통신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동통신, 인터넷전화, IPTV, 초고속인터넷 등의 결합 서비스를 확대하고 휴대전화와 기업솔루션을 연계하는 전략을 내걸었다.

이 회장은 강력한 추진력을 가진 인물로 알려졌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KT가 10년 동안 할 일을 1년 만에 처리했다.”는 말로 이 회장의 리더십을 평가했다. KT-KTF의 합병, QOOK 브랜드 출시, 유·무선 융합서비스(FMC), 아이폰 출시 등이 대표적이다. 손자와 화상통화를 자주하고 경기 분당 KT 본사 사옥 앞의 중국집에서 자장면을 즐겨 찾는다고 한다. 1969년 행정고시 7회로 공직에 입문한 뒤 경제기획원 예산실장, 농림수산부 차관, 재정경제원 차관을 거쳐 1996년 정통부 장관에 오른 정통 관료 출신이다.

이 내정자는 온화한 리더십의 소유자라는 평을 듣는다. 광운대 총장으로 부임하던 날 교내에서 바비큐 파티를 열고 학생들에게 직접 캔커피를 나눠 준 일화가 이 내정자의 품성을 대변한다.

또 다른 통신업계 관계자는 “대학 총장 시절 인문사회대학과 경영대학의 일부 학과를 통합해 만든 동북아대학은 학문 분야의 컨버전스였다.”며 이 내정자의 면모를 소개했다. 그에게는 기업문화가 판이한 LG 통신3사의 화학적 결합을 이뤄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1991년 한국통신(KT)에 입사해 한국통신프리텔(KTF) 사장에 취임했다. 2001년 KT 사장으로 복귀해 민영화 작업을 주도했고 2002~2003년 정통부 장관을 지낸 뒤 고려대 석좌교수와 광운대 총장을 맡았다. 그는 전형적인 공대 출신의 테크노크라트다.

구혜영기자 koohy@seoul.co.kr
2010-01-0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