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염동열 의원이 4년 전 총선 직후 보좌관의 월급 절반을 떼어 입법보조원에게 건넸다는 의혹이 25일 제기됐다. 당시 입법보조원은 염 의원의 처조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염 의원의 김모 전 보좌관은 이날 채널A와의 인터뷰에서 “친척이라 등록 못하니까 급여에서 200만 원을 네가 부담하고 다른 후배 비서진들에게 50만 원을 각출해서 250만 원을 만들어봐라”라고 했다고 말했다. 김 전 보좌관은 반년 넘게 모두 900만원의 월급을 떼였다고 주장했다.
염 의원은 또 보좌진들의 직급을 올려주고는 직급 상승에 따른 인상 보수만큼을 떼어 상납 받아왔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염 의원의 처조카였던 입법보좌관은 녹취에서 “00도 200만원인가를 사무실에 내놓는다고 이야기하더라?”면서 “그렇죠. 지금 거기 전체가 그래요. 원래는 안 했었는데 급수를 다 올리고 차액을 내놓게 하는 거지”라고 말했다.
하지만 염 의원은 관련 의혹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국회의원들의 끊이지 않는 갑질 논란이 결국 국회의원실의 잘못된 운영체제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염 의원의 김모 전 보좌관은 이날 채널A와의 인터뷰에서 “친척이라 등록 못하니까 급여에서 200만 원을 네가 부담하고 다른 후배 비서진들에게 50만 원을 각출해서 250만 원을 만들어봐라”라고 했다고 말했다. 김 전 보좌관은 반년 넘게 모두 900만원의 월급을 떼였다고 주장했다.
염 의원은 또 보좌진들의 직급을 올려주고는 직급 상승에 따른 인상 보수만큼을 떼어 상납 받아왔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염 의원의 처조카였던 입법보좌관은 녹취에서 “00도 200만원인가를 사무실에 내놓는다고 이야기하더라?”면서 “그렇죠. 지금 거기 전체가 그래요. 원래는 안 했었는데 급수를 다 올리고 차액을 내놓게 하는 거지”라고 말했다.
하지만 염 의원은 관련 의혹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국회의원들의 끊이지 않는 갑질 논란이 결국 국회의원실의 잘못된 운영체제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