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디부아르 16강 꿈 주심 휘슬에 날아갔다

코트디부아르 16강 꿈 주심 휘슬에 날아갔다

입력 2014-06-26 00:00
업데이트 2014-06-26 0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가시간 ‘오심 논란’ PK에 무릎… 국가 재난 위로하려던 선수들 눈물

다소 밀리며 선제골을 내줬지만 1-1 동점을 만들었다. 괜찮았다. 같은 조 콜롬비아는 후반 들어 일본을 상대로 맹공을 퍼붓고 있었다. 이대로 가면 사상 첫 16강. 어느새 시계는 후반 45분을 넘어섰다.


주어진 추가시간은 3분. 이 시간만 버티면 대형 홍수로 국가적 재난을 겪고 있는 고국에 희망을 줄 수 있을 터였다. 닷새 전 친동생을 잃은 상황에서도 경기에 나선 콜로 투레(리버풀)와 야야 투레(맨체스터시티) 형제의 슬픔을 조금이라도 달랠 수 있을 터였다. 디디에 드로그바(갈락타사라이)가 오랫동안 염원하던 16강 이상의 꿈을 이룰 수 있을 터였다.

그러나 25일 포르탈레자의 카스텔랑 주경기장에서 열린 브라질 월드컵 C조 3차전 추가시간에 그리스의 요르기오스 사마라스(셀틱)가 코트디부아르의 페널티 지역 안에서 넘어지자 휘슬이 날카롭게 울렸다. 주심은 즉시 페널티킥을 선언했다. 코트디부아르의 조바니 시오(FC바젤)가 사마라스를 수비하며 발을 걸었다는 판단에서다. 그리스 선수들은 서로 부둥켜안고 기뻐했다. 코트디부아르 선수들은 하늘이 무너진 듯 황망한 표정을 지었다. 시오는 억울하다고 호소했지만 판정은 번복되지 않았다. 사마라스는 직접 페널티킥을 차 상대 골망을 흔들었고 경기는 그대로 끝, 그리스가 2-1로 이겼다.

주심의 휘슬은 두 팀의 운명을 잔혹하게 바꿔 놓았다. 그리스는 1승1무1패(승점 4)로 기적처럼 사상 첫 16강을 이뤄냈고, 코트디부아르는 1승2패(승점 3점)를 기록하며 사상 첫 16강행이 좌절됐다.

주심의 페널티킥 선언은 논란에 휩싸였다. 느린 화면을 보면, 시오가 발을 건 게 아니라 슛을 날리려던 사마라스의 발이 시오의 몸을 스친 것에 불과했고, 실제로는 사마라스가 스스로 바닥을 차는 바람에 넘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날 경기장은 그렇게 드로그바의 월드컵 고별 무대가 되고 말았다. 내전에 휩싸인 고국에 축구공 하나로 평화를 선물했던 드로그바는 불과 몇 분 전까지 D조 1위 코스타리카와의 16강전을 상상했을 법했다. 후반 33분 교체돼 그라운드에서 물러난 뒤에도 벤치에 앉지 않고 바닥에 무릎을 꿇은 채 두 손을 모아 16강 진출을 염원했다. 하지만 운명은 A매치 104경기 출전에 65골을 넣은 세계적인 스트라이커의 간절한 바람을 끝내 외면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4-06-26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