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 선수들에겐 []이 없다”…태극 전사 같은 정신력

“亞 선수들에겐 []이 없다”…태극 전사 같은 정신력

입력 2014-06-23 00:00
업데이트 2014-06-23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카다 다케시 前 일본 감독의 일침

아시아 축구가 맥을 못 추고 있다. 한국, 일본, 이란, 호주 등 브라질월드컵 아시아 쿼터 본선 진출 4팀의 22일(한국시간)까지 전적은 7전3무4패. 참가 대륙 중 유일하게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한국과 일본이 16강에 진출하는 등 승승장구했던 지난 남아공월드컵과는 사뭇 대조되는 모습이다.

이미지 확대
오카다 다케시 감독
오카다 다케시 감독
왜 이렇게 됐을까. 이날 일본 NHK 방송 해설위원으로 포르투알레그리의 베이라히우 주경기장 미디어센터를 찾은 전 일본대표팀 감독 오카다 다케시 중국 항저우 감독은 첫 번째 요인으로 ‘정신력’을 꼽았다.

그는 일본의 부진 원인을 “선수들이 유럽에 진출하고 스타 대접을 받으면서 우쭐해져 국가를 위해 뛰는 것이 아니라 축구만 잘하면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월드컵 무대에서는 국가를 위해 뛴다는 생각이 필요하고, 많은 준비가 필요한데 일본 선수들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아시아 4개팀 92명의 선수 가운데 자국 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는 절반에 못 미치는 44명. 대부분의 각 팀 주축들에게 월드컵은 더 이상 빅리그 진출 통로가 아니기 때문에 강한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오카다 감독은 기술적 문제로는 ‘결정력 부족’을 꼽았다. 그는 “아시아 레벨에서 유럽과 남미팀을 상대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인데, 이번에는 힘, 특히 골 결정력의 문제가 도드라져 보인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그는 “한국은 언제나 승부에 강하다. 선수들이 학생 때부터 이런 분위기에 익숙해져 있다”면서 태극 전사들의 정신력을 부러워했다. 또 “한국은 전방부터 적극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전술을 펼친다”면서 “조급해하지 않으면서 세트피스 등의 득점 기회를 확실히 골로 연결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홍명보 감독은 알제리전에 앞선 공식 기자회견에서 “아시아 축구의 퇴보 여부는 월드컵 이후에 알게 될 것”이라며 “한국은 아시아 약세의 예외”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그는 “아시아 축구가 세계 축구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연구해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포르투알레그리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4-06-23 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