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협회 “최성국 등 징계 감면 사유에 해당 안돼”

축구협회 “최성국 등 징계 감면 사유에 해당 안돼”

입력 2013-08-19 00:00
업데이트 2013-08-19 17: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축구협회 곽영철 징계위원장은 19일 “승부조작과 같은 사건이 반복돼서는 절대 안 된다”며 프로축구연맹이 제출한 ‘승부조작 선수 징계 감면안’을 부결한 이유를 밝혔다.

곽 위원장은 19일 종로구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제2차 정기이사회를 마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축구협회 규정에는 영구징계의 경우 5년, 기한을 둔 징계는 징계 기간의 2분의 1이 지나면 징계 감면을 논의할 수 있도록 돼있지만 곽 위원장은 “승부조작에 관여한 선수들은 감면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예를 들어 최성국은 2011년 8월 협회로부터 보호관찰 5년의 처분을 받았는데 아직 이중 절반이 지나지 않은 시점이어서 원칙상 감면 논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는 뜻이다.

다만 곽 위원장과 동석한 안기헌 전무는 승부조작 선수들이 돌아올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이냐는 질문에 “지금 이 문제를 거론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봐서 승인하지 않기로 했다”고 답해 차후 재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사회는 법원에서 금품수수는 인정됐지만 승부조작 부분은 무죄 선고를 받은 김지혁, 주광윤 등 4명에 대해서는 징계 수위 조정의 필요성을 인정했다.

곽 위원장은 “해당 선수들은 징계 조정의 필요성이 당연히 인정된다”면서도 “수위에 대해서는 좀 더 논의해 신중하게 결정하겠다”고 강조했다.

프로축구연맹은 지난달 11일 정기이사회에서 승부조작으로 2∼5년의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선수 가운데 18명의 보호관찰 기간을 절반으로 경감해 여론의 뭇매를 맞은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