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희·조은지 기자 런던 her story] (1) 정부 수립도 안된 64년전과 지금

[김민희·조은지 기자 런던 her story] (1) 정부 수립도 안된 64년전과 지금

입력 2012-07-24 00:00
업데이트 2012-07-24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8박19일 긴 여정 배 위에서 공항서 뛰고 뛰었던 그때 ‘최고’선정 단복 입고 12시간 가뿐히 날아온 오늘

홍콩을 경유했지만 런던에 도착하기까지 12시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얼마 전부터 런던 올림픽파크 내 선수촌이나 대한체육회가 사상 처음 마련한 런던 브루넬대학 훈련 캠프에서 현지 적응에 몰두하는 대표 선수들이나, 또 양궁대표팀처럼 마인드컨트롤을 위해 호텔에 묵는 이들 모두 비슷한 비행시간 끝에 결전의 땅에 당도했다.

1948년 정부 수립 한달 전에 배와 비행기를 갈아타고 18박 19일 만에 런던에 도착했던 대한민국 선수단과 너무 다른 행보다. 당시 자랑스러운 태극마크를 가슴에 달고 런던에 도착한 선수들은 배 위에서, 갈아탈 비행기를 기다리는 공항에서 뛰고 또 뛰었다고 했다. 정부 수립도 안 된 나라의 국민들이 복권을 사서 모은 8만 달러로 여행경비를 썼으나 64년 뒤의 후배들은 태릉선수촌의 조리사 8명을 함께 브루넬 대학에 데려갈 정도로 든든한 정부와 기업 지원, 연금 혜택, 안락하기까지 한 훈련 여건을 누리고 있다.

1948년 런던올림픽에 대한민국이란 국호로 사상 처음 참가한 선수단 단복은 겨울 양복지로 만들어져 선수들은 무더운 날씨에 무척 고생해야 했지만 이번 선수단 단복은 뉴욕타임스가 뽑은 베스트 단복 가운데 하나로 뽑혔다.

완전 독립이 이뤄지지 않은 한국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참가 자격을 얻느라 소중한 목숨을 바치기도 했다. 스톡홀름 IOC 총회로 향하던 전경무 대책위 부위원장이 비행기 사고로 숨진 것. 미국에 있던 이원순씨가 대신 총회에 달려와 절박한 호소 끝에 승인을 얻었다.

사정이 이랬으니 신생 대한민국을 알리겠다는 각오로 런던에 도착한 선배들은 비장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제 우리 선수들은 그보다 훨씬 편한 마음으로 올림픽을 즐길 것이다. 예전처럼 목숨 걸고 경기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즐겁게 하는 경기에 몰두할 때 선수들이 가장 아름다워 보인다는 점을 이제 적지 않은 이들이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다.

더욱이 이번 올림픽은 모든 참가국이 여성을 출전시키고 모든 정식종목에서 금녀(禁女)의 벽을 허문, 첫 양성(兩性) 평등 올림픽이다. 올림픽 취재에서도 여성의 접근을 막는 걸음이 조금씩 걷히고 있지만 서울신문이 이번 올림픽에 두 여기자를 파견하는 것도 결코 우연만은 아닌 것 같다.

런던의 관문 히스로 공항에 내리며 112년 만에 이뤄진 양성평등 올림픽을 여성의 시각으로 독특하게 전달할 것을 다짐해 본다.

haru@seoul.co.kr

2012-07-24 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