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런던올림픽 그때 그 태극기·휘장’ 찾긴 찾았다는데

‘1948년 런던올림픽 그때 그 태극기·휘장’ 찾긴 찾았다는데

입력 2012-07-10 00:00
업데이트 2012-07-10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막기수 故안병석측 공개로 세상에 알려져…체육회 증빙못해 ‘곤혹’

64년 전 런던 하늘 아래 대한민국의 위상을 처음으로 떨쳤던 그 태극기가 과연 맞을까.

정부 수립 보름여 전인 1948년 7월 29일 막을 올린 런던올림픽에 한국은 67명의 선수단을 파견했다. 그러나 개회식에 입장한 선수단 기수가 누구였는지, 그가 들었을 태극기는 어찌 됐는지에 대해 아무런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았다.


당시 개회식은 우리 국호와 태극기를 세계 만방에 사실상 처음 알린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데도 태극기의 보존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올림픽 참가 결정이 내려진 것이 미군정의 혼란기였고 폐회 뒤에도 건국 뒤의 혼란이 지속됐다는 점을 감안해도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지난 2010년 12월 발간된 ‘대한체육회 90년사’에도 기수의 신원과 태극기 보존 여부는 언급되지 않았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그 기수가 당시 농구 대표로 고려대 2학년에 재학 중이던 안병석(1923~1984년) 선수였다는 주장이 9일 제기됐다. 외아들인 안모(68)씨가 태극기(위)를 비롯해 휘장(가운데)과 페넌트(아래), 농구대표팀의 붉은색 하의 유니폼을 뒤늦게 공개했다. 한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태극기는 색이 조금 바랬지만 어느 한곳 해지지 않고 부드러운 천의 감촉도 그대로 남아 있는 등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고.

휘장에는 오륜기와 함께 영문 이름 ‘KOREA’와 태극 문양이 선명하게 새겨져 있고, 페넌트에는 태극기와 ‘KOREA’ 그리고 ‘1948’이 또렷이 남아 있다. 하지만 부친의 유품을 공개한 안씨는 64년 동안 가보로 간직해온 이들 자료의 도난을 우려해 주소지와 자신의 이름도 공개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당시 마라톤 선수로 출전했으며 오는 27일(현지시간) 개막하는 런던올림픽 참관단으로 다시 런던을 찾을 예정인 최윤칠(84)옹<서울신문 7월 5일자 27면>은 “안병석 선수가 선수단 기수로 활동한 것이 맞다.”고 회고했다고 대한체육회가 이날 전했다. 하지만 당시 선수로 참가한 이들 가운데 생존해 있는 다른 5명의 원로 중 일부는 “손기정(1912~2002년)옹이 기수였다.”고 엇갈린 진술을 하고 있다.

이를 확인해야 할 대한체육회는 안씨의 주장을 입증할 객관적 증거가 없어 안절부절못하고 있다. 안씨는 부친의 유품을 모아 올림픽박물관을 열 준비를 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독립국가 최초로 올림픽에 참가했던 감격을 알릴 좋은 기회가 생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립 취지를 설명했다.

64년 만의 런던올림픽 개회를 17일 앞둔 시점에, 이런 기초적인 사실 하나 정리하지 못한 우리가 부끄럽고 안쓰럽기만 하다.

임병선기자 bsnim@seoul.co.kr

2012-07-10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