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의 재치 ‘본부석 때리기’

허재의 재치 ‘본부석 때리기’

입력 2011-09-23 00:00
업데이트 2011-09-23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심판대신 타깃… 효과도 ‘톡톡’

허재 감독은 경기 내내 고성을 질러댔다. “야, 저게 왜 파울이야. 판정이 이상하잖아.” “심판이 왜 자꾸 흐름을 끊어. 너무하는 거 아냐.” 지난 21일 아시아농구선수권대회 이란전 모습이었다.

이미지 확대
허재 농구감독 스포츠서울
허재 농구감독
스포츠서울
허 감독은 애매하고 불리한 판정이 나올 때마다 적극적으로 항의했다. 코트가 울리도록 거칠게 소리를 질렀다. 얼굴은 달아올랐고 제스처도 컸다.

그런데 이상했다. 일절 심판에겐 항의를 안 했다. 판정에 항의하면서도 정작 심판 쪽은 쳐다보지도 않았다. 본부석을 향해서만 강하게 항의를 계속했다. 국내 리그에서 선수들을 쏘아보던 ‘레이저’ 눈빛을 본부석에다 보냈다. 본부석 임원들은 아예 한국 벤치 쪽을 바라보지도 못했다. 관중들조차 허 감독의 고함이 계속되자 기가 질려 조용해졌다. 허 감독은 왜 그랬을까.

이유가 있었다. 이미 편파 판정이야 각오하고 있었다. 허 감독은 “판정이 애매하다고 해서 내 성질대로 하면 경기를 망친다. 테크니컬 파울이라도 나오면 안 그래도 불리한 경기가 더 불리해진다.”고 했다. 그러나 참고만 있을 수도 없었다. 그는 “타고난 성격이 나빠서 참고 있으면 화병 나서 죽는다. 무조건 표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퇴양난이다.

그래서 타깃으로 잡은 게 본부석이었다. 심판에게 항의하면 테크니컬 파울이 나올 수 있다. 그것도 허 감독처럼 거칠게 항의하면 무조건 파울이 나온다. 그런데 심판은 쳐다보지도 않고 본부석에 항의하니 심판도 할 말이 없다. 심판 권위에 도전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어차피 말도 안 통하는 거 이렇게라도 화를 풀어야지. 그래도 본부석에 소리 지르고 있으면 심판들이 좀 조심하더라고….” 허 감독의 재치였다.

우한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1-09-23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