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돋보기] ‘봄데’ 압박에 혹사당하는 어린 투수

[스포츠 돋보기] ‘봄데’ 압박에 혹사당하는 어린 투수

입력 2011-04-21 00:00
업데이트 2011-04-21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개 구원투수들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짧게 던지면서 자주 등판하거나 길게 던지고 가끔 등판한다. 당연한 얘기다. 시즌은 길다. 팀과 개인 모두 버티려면 어쩔 수 없다. 다만 예외는 있다. SK 정우람 정도다. 많은 이닝을 소화하면서도 연투가 가능하다. 원포인트 구원과 롱릴리프 양쪽을 오간다. 김성근 감독은 “특유의 유연한 자세 때문에 가능하다.”고 했다. 물론 특성에 맞는 세심한 관리가 따른다. 어쨌든 특수한 경우다.

롯데 구원투수 고원준. 올 시즌 들어 8경기에 나섰고 14와3분의2이닝을 던졌다. 지난 19일 현재 방어율 0.00으로 리그 1위를 기록했다. 규정 이닝을 채웠다는 얘기다.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 기록을 보면서 짚어 보자.

이날까지 고원준보다 많은 경기에 출장한 투수는 다섯 명뿐이었다. 넥센 오재영이 11경기 등판했다. LG 오상민과 삼성 임현준은 10경기에 나섰다. 오재영은 5와3분의1이닝, 오상민과 임현준은 각각 4와3분의1이닝과 4와3분의2이닝을 던졌다. 자주 나오고 적게 던졌다는 얘기다. SK 전병두만 예외다. 9경기에 나섰고 14와3분의2이닝을 소화했다. 다만 전병두는 선발도 겸하는 스윙맨이다.

고원준과 비슷한 이닝을 소화한 투수는 두산 이현승과 LG 심수창이다. 15이닝씩 던졌다. 둘 다 선발투수다. 3경기씩 나섰다. 기록을 보면 고원준의 상황이 보인다. 원포인트 구원투수들과 비슷한 횟수로 등판한다. 그러면서 선발투수들과 비슷한 이닝을 소화하고 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시즌 초반에 비해 등판 간격은 짧아지고 투구 이닝은 늘어나고 있다. 12, 17, 19일 모두 3과3분의1이닝을 던졌다. 그 사이 14일엔 1이닝을 소화했다. 앞으로 순위 싸움이 치열해지면 이런 추세가 어디까지 갈지 모른다. 문제가 있다.

사실 팀과 개인에게 모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고원준은 이제 스무살. 2년 차 어린 투수다. 본격적인 불펜 경험은 올 시즌이 처음이다. 특성과 연투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아무도 확실하게 모른다. 정우람과는 차이가 있다. 결국 어깨는 소모품이고 어느 시점에는 관리가 필요하다. 이런 식의 부담은 곤란하다.

롯데의 팀 특성도 고려해야 한다. 오랫동안 롯데는 ‘봄데’였다. 성적을 위해 초반에 총력전을 펼쳤고 여름에 주저앉았다. 그럴 수밖에 없다. 가장 긴 이동 거리를 오간다. 육체와 정신이 모두 피곤하다. 경기가 끝나도 못 쉬고 이동해야 한다. 매일 대기하는 불펜투수들의 피로도는 다른 팀보다 월등하다. 그 차이가 쌓이면 어느 순간 팀은 동력을 잃는다. 전임 로이스터 감독이 느슨한 투수 운용과 훈련 패턴을 보여 줬던 것도 그런 이유였다. 롯데는 지난 3년 동안 봄데가 아니었다.

롯데의 올 시즌 목표는 우승이다. 성적에 대한 부담이 크다. 부담은 압박감을 낳고 압박은 사람을 조급하게 한다. 당장 구위 좋은 투수를 쓰고 싶은 욕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러나 기억해야 한다. 시즌은 길고도 길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1-04-21 2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