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인 스포츠] 프로농구 삼성 새 사령탑 김상준 감독

[피플 인 스포츠] 프로농구 삼성 새 사령탑 김상준 감독

입력 2011-04-15 00:00
업데이트 2011-04-15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뻔한 수비 No! 펀한 속공 Go!”

선수단 상견례가 있던 지난 7일, 43세 미혼의 농구감독은 청바지를 입었다.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삼성이었다.넥타이를 맨 정장까지 기대한 건 아니었지만 ‘파격’이었다. 이 남자는 “상의는 재킷을 입었으니까 완전 스포티한 복장은 아니었어요. 얽매이는 걸 워낙 싫어해서…”라고 태연하게 웃었다. ‘무적 중앙대’를 떠나 프로농구 삼성 사령탑에 오른 김상준(43) 신임감독이다.
이미지 확대
김상준 농구감독
김상준 농구감독


●“90점 넣는 수비농구 기대하시라”

김 감독과 대면한 선수들 얼굴은 잿빛이었다. 훈련을 모질게 시키기로 악명 높기 때문. 김 감독은 “내 소문을 들었는지 선수들 표정이 어두웠다. 운동을 좀 타이트하게 시키는 편인데….”라고 사악(?)하게 웃었다.

지난 일주일간 태어나서 전화를 가장 많이 받았다. 축하가 대부분이지만, 걱정하는 사람도 많았다. 중앙대에 계속 있었다면 당분간은 탄탄대로였을 터. 김 감독은 52연승 신화와 대학리그 전승 우승 등 굵직한 역사를 창조했다. 웬만한 외국인 선수 한명 끼면 프로에서도 통할 거라고 할 정도로 ‘어메이징한 팀’이었다.

김 감독은 “삼성이라 사인했다. 전통 있는 구단에서 날 택했다는 게 끌렸다. 이번 아니면 기회가 없을 것 같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아이들에 대한 미안함은 어쩔 수 없었다. 삼성행이 정해지고 술에 취해 중대 선수들을 일일이 껴안으며 남몰래 눈물을 찍어냈다. 선수들은 “감독님 배신자. 저희 졸업하고 가시지, 왜 지금 가세요.”라며 붙잡았다. 김 감독은 “너희는 이제 내가 없어도 잘할 수 있는 훌륭한 팀이다.”라고 선수들을 토닥였다.

자신이 조련한 ‘중앙대 자부심’은 대단하다. 김 감독은 “40분 내내 풀코트 프레스 하는 팀은 중앙대가 최초였다. 빠른 농구, 런 앤드 건(run and gun·압박수비를 바탕으로 한 속공)을 추구하는 농구가 나의 농구다. 재밌는 농구를 보여줄 자신이 있다.”고 했다. KBL 대세로 자리 잡은 ‘재미없는’ 수비농구도 타파할 자신이 있단다. “중앙대에서도 수비를 지향했지만 90점 이상 넣었다. 빠르고 박진감 넘치는 ‘업그레이드 수비농구’를 보여주겠다.”

●“오세근? 김선형? 다 덤벼”

프로에도 제자들이 많다. 하나같이 팀의 대들보로 자리 잡은 굵직한 선수들. 신인 오세근(인삼공사)·김선형(SK)·함누리(전자랜드)를 비롯해 윤호영(동부)·강병현(KCC)·함지훈(상무) 등이 모두 김 감독 작품이다. 애지중지 키운 제자들이 이제는 ‘적’이 됐다. 김 감독은 “그놈들이 제일 겁난다. 아끼는 제자들이지만 그래도 삼성이 이겨야 되니까, 내가 아는 걸 최대한 살려서 다 막을 거다. 한판 붙자.”고 승부욕을 불태웠다.

지면 못 사는 성격이라고 했다. 대학을 맡으며 6년간 딱 아홉번 졌는데, 2009년에만 5패를 당했다. 골득실로 예선탈락의 수모도 겪었다. 김 감독은 스트레스 때문에 8㎏이 쪘다. 미국으로 떠나 새롭게 농구공부를 하며 자신을 채찍질했다. 그러고 지난해 전승으로 대학리그 정상에 올랐다. 그제야 활짝 웃었다.

이렇듯 ‘한다면 하는’ 사나이다. 김 감독은 “프로는 냉정하니까. 살아남을 수도, 죽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항상 그렇게 살아왔다.”고 말했다. 식스맨 선수생활을 때려치우고 포장마차, 주유소 사장님을 거쳐 다시 돌아온 농구코트다. 2001년 명지중, 2006년 중앙대 지휘봉을 잡으며 쉼 없이 달려온 ‘카리스마’ 김상준 감독이 삼성에서 일굴 새 드라마가 벌써 기다려진다.

글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사진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2011-04-15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