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B] 찬호 “새 실전 패턴 완성… 출격 준비 끝”

[NPB] 찬호 “새 실전 패턴 완성… 출격 준비 끝”

입력 2011-04-13 00:00
업데이트 2011-04-13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투수는 예민하다. 그럴 수밖에 없다. 근원적인 투구 메커니즘이 불안정하다. 온 체중을 한발 끝에 모아 지탱한다. 몸 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앞으로 넘어지듯 움직인다. 그러곤 그 탄성을 손가락 끝에 모아 공을 던진다. 하체에서 상체까지 중심 이동은 위태위태한 수준이다. 아주 작은 흔들림으로도 밸런스가 무너진다.

이미지 확대
박찬호 스포츠서울
박찬호
스포츠서울


실전에선 이런 작업이 더 복잡해진다. 빠르고 느린 공을 번갈아 뿌린다. 손끝의 예민한 감각으로 이걸 조절한다. 그러면서 투구 자세엔 변화가 없어야 한다. 투수가 고려해야 할 변수가 너무 많다. 일본 프로야구 오릭스 박찬호. 이런 기본 조건에다 보크 문제가 겹쳤다. 스프링캠프와 시범경기에서 세트포지션 자세에 문제를 드러냈다. 이걸 신경쓰면서 예민한 밸런스가 엉켰다. 그리고 4선발로 밀렸다. 국내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그럼 지금 상태는 어떨까. 현장에서 알아봤다.

●문제는 복합적이었다

표면적으로 드러난 건 보크다. 그러나 단순하지 않았다. 여러가지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겹쳤다. 원래 박찬호는 세트포지션 리듬이 일정치 않은 투수다. 미국에서도 1~2초가량 정지한 뒤 던지거나 정지 동작이 거의 없이 곧바로 던지는 두 가지 패턴이었다. 순간순간 리듬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패턴을 조절했다. 오래 몸에 익은 특유의 자세다.

일단 보크 문제가 걸리면서 기존 밸런스에 문제가 생겼다. 짧은 정지동작으로 탄력을 극대화해야 할 때 그게 안 됐다. 구속이 현저히 떨어졌다. 지난해 피츠버그 시절 150㎞대를 찍었지만 일본에선 140㎞대 초반에 그쳤다. 중심이동도 딱딱해졌다. 야구는 몸에 기입된 동작을 무의식적으로 끌어내는 스포츠다. 생각이 많아지면 동작이 굳는다. 오릭스 후쿠마 오사무 투수코치는 “박찬호가 생각이 많아지면서 투구동작이 부자연스러워졌다.”고 했다.

습관 문제도 엉켰다. 박찬호는 빠른 공을 던질 때면 팔 각도가 다소 내려온다. 오릭스 관계자는 “몸을 조금 더 비트는 느낌도 든다.”고 했다. 글러브에서 공을 꺼내는 과정에서도 미세한 차이가 노출됐다. 일본에선 이것들을 다 의식해야 한다. 시범경기에서 부진했던 이유다.

●교정 완료. 지금은 문제 없다

그럼 지금 상태는 어떨까. 후쿠마 투수코치는 “이제 특별한 문제가 없다. 자신만의 패턴을 잡은 걸로 보인다.”고 했다. 그러면서 “구위가 일정 이상 올라왔다. 일정한 패턴을 기본으로 해 놓고 실전에선 조금씩 변형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실제 박찬호는 연습투구에서 새 투구 패턴에 거의 익숙해진 모습을 보였다. 스프링캠프와 시범경기에선 단순히 1초 정도 정지했다 던지는 한가지 동작만 집중 연습했다. 그러나 지금은 1초 멈췄다 길게 멈췄다 하는 변형 동작까지 가능하다. 후쿠마 코치는 “한가지 패턴이 계속되면 타자들 눈에 익숙해지기 때문에 실전에선 패턴을 달리 가져가야 한다.”고 했다. 시범경기는 과도기였다는 얘기다.

4선발로 결정된 이유도 투구능력에 대한 의심 때문은 아니라고 했다. 준 나카무라 섭외과장은 “구위 때문이 아니라 스케줄 문제다. 라쿠텐 선발 다나카가 좋은 투수이기 때문에 꼭 이길 투수를 내세워야 했다.”고 설명했다. 박찬호는 “모든 준비는 끝났다. 느낌이 좋다.”고 했다.

오사카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1-04-13 2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