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에 나타난 빅브라더의 세계

현실에 나타난 빅브라더의 세계

입력 2012-04-02 00:00
업데이트 2012-04-02 16: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폐쇄회로(CC)TV에 찍힌 사람의 흐릿한 얼굴을 확대해 곧바로 데이터베이스(DB)에서 검색을 시작한다. 잠시 후 CCTV 속 사람의 이름, 주소, 전과 등 개인정보가 모니터 화면에 뜬다. 과학수사대를 표방한 영화나 TV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들이다. 그러나 현실 속의 시스템은 이와는 거리가 멀다. 사람들의 정보를 방대하게 모으는 것도 힘들뿐더러 CCTV로 지나다니는 사람들의 얼굴 검색이 가능할 만큼 촬영하는 것도 쉽지 않다. 무엇보다 CCTV의 성능과 이를 총괄하는 관제센터가 제각각이어서, 모든 데이터를 한군데에서 검색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이미지 확대


정보기술(IT) 업계가 기존 CCTV 한계를 뛰어넘은 ‘슈퍼 감시 시스템’의 등장으로 술렁이고 있다. 모든 것이 감시되고 기록되는 조지 오웰의 소설 ‘1984’ 또는 아무리 숨으려고 해도 감시자의 손바닥 위에서 움직이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담은 할리우드 영화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속 모습이 현실에 나타난 것이다.

일본의 전자업체 히타치는 최근 “새로운 형태의 CCTV 시스템을 개발, 내년 정부기관에 납품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길거리를 지나가거나 상점을 들여다보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해 DB에서 일치하는 정보를 찾아낼 수 있다. 특히 별도의 DB가 구축돼 있지 않아도 페이스북 프로필이나 여권사진 등을 인터넷망으로 검색해 개인정보를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히타치 측은 “촬영된 얼굴은 특수하게 고안된 ‘생체 측정 정보’로 변환돼 일치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히타치는 이 시스템이 초당 3600만개의 얼굴을 인식하고 구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하나의 사진으로 60억명이 넘는 전 세계 인구를 모두 검색한다고 해도 불과 몇분이면 충분하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히타치는 기간망을 중심으로 한 정부 기관을 주요 거래처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철도역, 발전소, 초대형 상점 등에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물론 시스템이 완벽한 것은 아니다. 현재의 기술력으로 사람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찾기 위해서는 얼굴이 정면으로 찍혀야 하고, 최소 40×40픽셀 이상의 사이즈가 확보돼야 한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