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1000원 아침밥’ 열풍 이끌어 [폴리시 메이커]

대학가 ‘1000원 아침밥’ 열풍 이끌어 [폴리시 메이커]

유승혁 기자
유승혁 기자
입력 2024-01-03 02:11
업데이트 2024-01-03 0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보람 농림축산식품부 과장

이미지 확대
김보람 농식품부 농촌공간계획과장
김보람 농식품부 농촌공간계획과장
농림축산식품부의 ‘천원의 아침밥’ 사업은 지난해 대학가의 화제였다. 고물가 시대에 단돈 1000원으로 정성이 담긴 아침밥을 먹을 수 있어 이른 아침이면 대학 구내식당에 ‘오픈런’이 벌어졌다. 학교와 정부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이 사업은 2017년부터 시작해 매년 지원 규모를 늘리고 있다.

호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은 대학생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 낸 사람은 김보람(42·행시 52회·전 식량산업과장) 농식품부 농촌공간계획과장이다. 지난해까지 식량산업과에서 천원의 아침밥에 힘을 쏟다가 지난 1일 자리를 옮겼다. 김 과장은 “코로나19 시기 위축됐던 사업을 확장하는 데 집중했다”면서 “밥값이 비싸 아침 식사를 거르는 학생들을 도와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대면 수업이 늘어나고 등교하는 학생이 많아지는 것에 맞춰 사업 규모를 키웠다. 김 과장은 “지난해 대면 수업 방침이 결정되면서 사업을 확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다행히 관심을 갖는 언론과 학교가 늘었고, 우리도 예산을 증액해 지원 대상을 넓히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참여 학교는 2022년 28개교(49만명)에서 2023년 144개교(233만명)로 늘었다. 올해에는 260여개교(400만명)로 증가할 전망이다.

준비 과정이 순탄치는 않았다. 정부가 1000원을 지원하고 학생이 1000원을 부담하면 나머지는 대학이 자체 운영하는 구조여서 예산·행정 부담을 호소하는 학교가 많았기 때문이다. 김 과장은 “학교의 재정 부담을 덜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도움을 주는 방법을 찾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하반기 12개 시도가 지원했으며 올해 16개 시도가 추가로 나설 계획이다.

지난해에 비해 사업 규모가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잘 마무리하는 게 올해 목표다. 김 과장은 “현재 260여개 학교가 참여를 희망하고 있다. 지원 대상, 예산 모두 지난해의 두 배 수준”이라며 “앞으로도 대학생 400만명분의 아침밥이 문제없이 지원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유승혁 기자
2024-01-03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