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병원 전공의 100여명 사직서 제출...시 비상대책 마련

부산대병원 전공의 100여명 사직서 제출...시 비상대책 마련

이창언 기자
이창언 기자
입력 2024-02-19 14:01
업데이트 2024-02-19 14: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아대병원 전공의 10명가량 사직서 제출했지만, 병원서 반려
4개 공공병원 진료 연장, 준중증 환자 25개 종합병원 분산 진료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전공의의 사직서 제출이 전국적으로 잇따르는 가운데 부산에 있는 대학병원 전공의도 사직서를 제출했다.

19일 부산시와 의료계 등은 이날 오전 부산대병원 소속 전공의 100여명이 개별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19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이 집단사직에 나서면서 환자와 보호자 사이에서는 ‘의료대란’이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날 보건복지부는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에게 진료유지명령을 발령한다고 밝혔다. 2024.2.19. 연합뉴스
19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이 집단사직에 나서면서 환자와 보호자 사이에서는 ‘의료대란’이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날 보건복지부는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에게 진료유지명령을 발령한다고 밝혔다. 2024.2.19. 연합뉴스
부산대병원은 이들이 내일부터 본격적으로 출근을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동아대병원 전공의 10명가량도 이날 오전 사직서를 병원에 담당 부서에 제출하려 했지만, 병원 측에서 반려했다.

현재 부산지역 주요 수련병원인 부산대병원에는 인턴 60명과 레지던트 184명, 동아대병원에는 인턴 33명과 레지던트 111명 등이 일하고 있다.

이들이 자리를 비우면 병원 현장에서는 새로운 환자를 받거나 수술을 진행하는 데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공의는 교수의 수술과 진료를 보조하고, 입원 환자 상태를 점검하는 등 각 병원에서 중요한 업무를 맡고 있다.

부산대병원 관계자는 “전공의가 없을 경우 교수들이 자리를 메우게 되는데, 이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결국 새로운 환자를 받거나 수술을 진행하기 어렵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혈우병 등 희귀 질환이나 암을 앓고 있는 환자 우려는 더욱 크다.

희귀 난치성 질환의 경우 규모가 큰 대학병원에서 주로 치료하기 때문에 전공의 공백이 크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일부 대학병원들은 이날 새로운 환자를 받지 않거나 수술 일정을 조정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설 예정이다.

동아대병원 관계자는 “전공의 집단행동이 예고됨에 따라 급한 수술의 경우 미리 당겨서 진행했고, 급하지 않은 수술의 경우 일정을 미루기로 했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부산의료원, 부산보훈병원,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부산대병원 등 4개 공공병원에 대해 진료를 연장하도록 하는 등 비상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부산시 관계자는 “준중증 환자의 경우 부산지역 25개 종합병원급에서 분산해 진료받을 수 있도록 각 병원과 협의했다”고 말했다.
부산 정철욱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