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 주민 절반이 비만…서초구 비만율 전국 최하

옹진군 주민 절반이 비만…서초구 비만율 전국 최하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6-11-06 22:26
업데이트 2016-11-07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덜 걷고 지방·술 섭취 늘어… 성인 3명 중 1명 비만 체형

10년 전보다 활동량은 줄고 지방 섭취량은 증가하면서 한국인의 체형이 비만형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량도 크게 늘어 여성의 월간 폭음률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식의 건강 행태를 지속하면 조만간 고혈압,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자가 급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인은 이미 4명 중 1명꼴로 고혈압을 앓고 있다.

이미지 확대
●10년 새 비만 유병률 1.9%P 증가

질병관리본부가 19세 이상 성인 1만명의 건강검진 결과와 면접조사 자료를 분석해 6일 발표한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의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25 이상)은 33.2%로 10년 전인 31.3%보다 1.9% 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남성의 비만 유병률은 2005년 34.7%에서 지난해 39.7%로 10년 새 5.0% 포인트나 늘었다.

우리 국민 3명 중 1명이 비만 체형이 된 것은 신체활동이 감소하고 지방과 탄산음료 섭취가 증가하는 추세와 관련됐다. 신체활동 수준을 나타내는 걷기 실천율(하루 30분 걷기를 매주 5일 이상 실천)은 지난해 41.2%로 2005년(60.7%)보다 19.5% 포인트 줄었으며, 하루 지방 섭취량은 51.1g으로 2005년(45.2g)보다 5.9g 늘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10년 전에 비해 한 주마다 삼겹살 1인분(150g)을 더 먹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여성 월간 폭음률 23% 역대 최고

한 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혹은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하는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52.7%로 전년 58.3%보다 많이 줄었다. 탄산음료와 커피 등 음료 하루 섭취량은 10년 전보다 3배 이상 늘어난 192.3g이었고, 19~29세는 하루 324.4g을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을 이렇게 관리하다 보니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2005년 8.0%에서 지난해 17.9%로 10년 새 2배 이상 늘었다.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또는 ‘많이’ 느끼는 스트레스 인지율은 지난해 31.0%였으며, 7명 중 1명꼴인 13.0%가 우울감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소주 7잔 또는 맥주 5캔(여성은 소주 5잔, 맥주 3캔)을 마시는 월간 폭음률은 남성 54.1%, 여성 23.2%로 각각 집계됐다. 특히 여성의 월간 폭음률은 2005년 17.2%, 2010년 22.1%, 2012년 22.9%, 2014년 22.5%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사회·경제 여건 따라 비만 양극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1년치 검진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비만 인구는 제주도(42.09%), 강원도(41.55%), 인천시(38.73%) 순으로 많았다. 시·군·구별로 보면 인천 옹진군(47.21%), 강원 인제군(46.21%), 양구군(46.14%) 등 산간과 섬 지역의 비만율이 높았다. 서울 서초구(32.10%), 강남구(32.19%) 등 소득이 높은 대도시 지역은 전국에서 비만율이 가장 낮았다.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비만의 양극화’가 나타난 것이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11-07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