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 10명 중 4명은 일터로 복귀 못 해”

“뇌졸중 환자 10명 중 4명은 일터로 복귀 못 해”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6-03-23 11:56
수정 2016-03-23 1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여성, 고령, 저학력일수록 복귀율 낮아

뇌졸중으로 쓰러진 환자 10명 가운데 4명은 신체기능이 회복돼도 일터로 돌아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이거나 나이가 많고, 학력이 낮을수록 일터 복귀율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연희·장원혁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연구팀은 2012년 8월부터 2014년 10월 사이 전국 9개 병원 뇌졸중 환자 933명을 조사한 결과 40%(373명)가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23일 밝혔다. 연구 결과 933명 중 일자리를 되찾은 60%(560명)는 대부분(97.1%, 544명) 예전과 같은 곳에서 근무했고, 일부는(2.9%, 16명) 일터가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뇌졸중 환자는 모두 발병 전 직업을 가지고 있었으며 발병 6개월 후 평가에서 신체활동 및 인지기능이 정상수치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뇌졸중 환자의 일터 복귀에는 성별과 나이가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미만 남성은 70.2%가 일을 되찾았지만, 여성은 같은 조건에서 48.3%에 불과해 큰 차이를 보였다. 65세를 넘는 경우 남녀 모두 일터로 되돌아가는 비율이 절반(남성 46.4%, 여성 45.2%)을 밑돌았다.



교육 수준도 뇌졸중 후 일을 계속할 수 있을지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꼽혔다. 직장 복귀에 성공한 560명 중 대졸 이상 학력이 38.4%로 가장 많았고, 고졸이 33.2%로 그 뒤를 이었다.

직업별 복귀비율을 따졌을 때 최상위 직종으로 농업이나 어업, 임업이 꼽혔다. 해당 분야 종사자의 66.4%가 다시 일을 손에 잡았으며, 전문직 종사자가 62.4%로 뒤를 따랐다. 반면 군인은 36.4%로 전 직종 중 가장 낮았을 뿐만 아니라, 차상위 직군인 단순노무직(51.8%)과도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이런 차이는 뇌졸중 환자들의 삶의 질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결과 직업에 복귀한 쪽이 그렇지 않은 쪽보다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우울감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연희 교수는 “뇌졸중 환자의 치료계획에 사회복귀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기대수명이 늘어나는 시점에서 뇌졸중 때문에 경력이 단절되지 않도록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뇌졸중 환자를 치료할 때 역시 직업재활을 비롯해 다방면을 고려해야 한다”며 “특히 나이와 성별에 따라 직업복귀가 차이 나는 경향이 확인된 만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재활의학분야 국제 학술지 ‘재활의학저널’ 최근호에 게재됐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