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14>뇌의 노화 방지법

[탈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14>뇌의 노화 방지법

입력 2014-06-02 00:00
업데이트 2014-06-02 0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뇌는 생체의 모든 장기와 기관의 기능을 관리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뇌 기능약화는 결국 생명 단축을 의미한다. 따라서 뇌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것은 생명 연장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뇌의 노화를 막으려면 백회혈, 천주혈, 풍지혈 등 뇌 기능과 연관된 침혈들을 자극해 뇌세포의 활성을 높여야 한다. 백회혈은 정수리에 위치해 있는데, 이곳을 자극하면 정신이 맑아진다. 손가락으로 백회혈을 매일 10~15초씩 3번 누르고, 목과 머리가 만나는 지점에서 양쪽으로 2~3㎝에 위치한 천주혈과 뒷목 중앙에서 양쪽으로 1.5㎝ 떨어져 있는 풍지혈을 같은 방법으로 문지르면 뇌의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잠도 잘 오고 기억력도 좋아지게 된다.

귀와 얼굴을 손으로 문지르는 동작도 효과가 좋다. 양 손바닥을 귀에 대고 귀의 뒤쪽을 앞뒤로 10~15번 비빈 다음 손바닥을 얼굴에 대고 세수하듯이 10~15번 문지른다. 이어서 손바닥으로 두 귀를 누르고 손가락을 머리 뒤쪽으로 가져간 뒤 둘째 손가락과 셋째 손가락을 겹쳐 뒷머리를 탁탁 두드리는 동작을 10~15번 반복한다. 세기는 두드리는 소리와 진동이 고막을 자극할 정도로 강하게 한다. 이렇게 하면 뇌의 혈액순환이 좋아져 뇌의 노화가 방지된다. 발가락에 힘을 주고 걸어도 같은 효과를 볼수 있을 뿐만 아니라 뇌졸중 예방에 도움이 된다.

북한에는 ‘발바닥 밑에 건강이 있다’라는 말이 있다. 결국 많이 걸어야 건강하게 오래 산다는 것이다. 한국처럼 종일 걸을 일이 없는 환경일수록 뇌 건강을 위해 걷기가 필요하다. 계단을 이용하고 마을버스 두 정거장 정도는 걸어다니는 생활 습관이 뇌를 젊고 똑똑하게 한다.

2014-06-02 2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