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구이음식의 두 얼굴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구이음식의 두 얼굴

입력 2013-08-19 00:00
업데이트 2013-08-19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찌거나 삶는 음식과 달리 굽는 음식만이 갖는 묘한 끌림이 있습니다. 우선 때깔부터 구미를 자극합니다. 생선이나 감자, 고구마가 노릇하게 굽힌 걸 보면 절로 군침이 돕니다. 육류를 즐기는 사람은 고기가 불판 위에서 굽히는 걸 보며 먹을 때가 되었음을 알아차리고 서둘러 술잔부터 채우지요. 그야말로 피해 가기 어려운 고량진미의 유혹입니다. 음식이 타면서 풍기는 냄새는 또 어떻습니까. 굳이 때깔이 아니더라도 졸여지다가 마침내 타들어가면서 풍기는 냄새는 이상하게 회를 동하게 하지요. 거의 모든 조리에 불을 사용했던 우리의 이런 음식문화 때문에 탄 음식에 길들여지지 않을 도리가 없었겠지요.

그런데, 그 탄 음식이 문제입니다. 육류 등 동물성 식품은 타면서 여러 가지 성분이 변질돼 헤테로사이클릭아민, 벤조피렌, 다이옥신 등 유해한 독성물질을 만들어 냅니다. 이런 물질들은 세계보건기구에서 벌써 발암물질로 지정했으니 피해야 하는 건 당연한데, 더러는 이런 상태를 즐기기도 하니 입맛을 위해 건강을 외면하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타서 문제가 되는 게 육류만은 아닙니다. 지방과 단백질을 많이 함유한 생선류는 물론 감자, 고구마 등도 태우면 고유의 성질이 변해 비슷하게 유해한 물질을 만들어 냅니다. 식용유나 올리브유를 끓여서 튀겨낸 음식이나 가열해 만드는 견과류 볶음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많은 의사들이 우리나라에서 특히 위암이 많은 것을 두고 짜게 먹는 식습관과 함께 꼽는 것이 바로 탄 음식임을 감안하면 결코 소홀히 지나칠 문제가 아닙니다. 물론 한두 번 탄 음식을 먹는다고 당장 문제가 되는 건 아니지만 타거나 졸인 음식에 길들여지면 어디 음식이라는 게 한두 번 먹다 말기가 쉬운 일이 아니지 않습니까. 특히나 음식이 타면서 만들어 내는 수많은 유독 화학성분들이 바로 쓰레기 소각장에서 내뿜는 유독물질들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안다면 생각이 좀 달라질까요. 그래서 굽는 삼겹살보다 삶는 수육이 몸에 훨씬 이롭다는 것인데, 어차피 입맛이란 길들여지는 것인 만큼 작심하고 식성을 바꿔보는 건 어떨까요.

jeshim@seoul.co.kr



2013-08-19 2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