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장애 뇌혈관문합술이 탁효

뇌경색 장애 뇌혈관문합술이 탁효

입력 2012-07-09 00:00
업데이트 2012-07-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술환자 98% 혈류흐름 정상화…3분의2는 일상생활에 복귀 호전

뇌혈관문합술이 뇌경색으로 인한 언어장애, 반신마비 등의 증상 개선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최석근 교수팀은 뇌경색으로 영구장애(언어장애 및 반신마비)를 얻은 환자에게 뇌혈관문합술을 시행한 결과 마비 증상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의료팀은 뇌경색에 의한 실어증과 신체마비 증상이 있는 남성 30명 등 환자 45명(평균연령 51세)에게 뇌혈관문합술을 시행한 뒤 13개월간 뇌혈관조영검사와 뇌스펙트검사 등으로 추적 관찰한 결과 수술환자의 98%에서 수술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문합 부위의 정상적인 혈류 흐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들 가운데 37명은 증상 악화나 재발 없이 상태가 유지됐고, 이들 중 일부를 포함한 30명은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할 정도로 증상이 호전됐다고 의료팀은 덧붙였다.

뇌조직은 수많은 미세혈관을 통해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는다. 그러나 뇌경색으로 혈액 공급이 막히면 발병 부위는 물론 주변부 뇌조직까지 손상을 입게 된다.

이처럼 손상을 입은 뇌혈관에 문합술을 적용해 혈류량을 늘려주면 뇌경색 발병 이전보다 상태가 좋아지거나 예상되는 뇌손상(재발)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게 최석근 교수의 설명이다. 이 임상 결과는 2012년 신경외과 춘계학술대회에서 보고됐다.

최 교수는 “환자마다 회복 정도나 속도에 차이는 있었지만 마비가 있더라도 정도를 완화시키고, 에너지원이 되는 혈류량을 늘려주면 정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을 정도로 증상이 개선됐다.”면서 “뇌혈관문합술을 통해 뇌경색 발병 부위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도 뚜렷하게 증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07-09 2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