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키에 안달하는 부모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키에 안달하는 부모

입력 2012-04-02 00:00
업데이트 2012-04-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리스 신화의 프로크루스테스는 산적이었습니다. 아테네 외곽 한적한 곳에 집을 짓고 살면서 하룻밤 유숙을 청하는 고단한 여행객들의 목숨을 빼앗고, 가진 것을 털었지요. 그는 여행객이 잠들면 침대 길이에 맞춰 침대보다 키가 크면 큰 만큼 잘라 죽이고, 침대에 못 미치면 모자란 만큼 늘여서 죽였습니다. 그의 집을 찾은 어느 누구도 그 침대에 자신의 키를 맞추지 못했으니, 한 사람도 살아나가지 못했고, 그런 탓에 그의 집 뒷마당에는 잘라낸 뼈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답니다.

이 신화가 우화처럼 읽히는 것은 ‘자신의 생각에 맞춰 남을 뜯어고치려는 무지 혹은 독선’을 말하기 때문이지만 키를 잣대로 삼았다는 게 재밌습니다.

사실, 키가 성장기 청소년들의 고민거리가 된 건 근래의 일입니다. 서구에서 기원한 외모지상주의의 부산물이라고 보는 게 옳겠지요. 우리만 하더라도 키에 관한 전통적 인식은 지금과 달랐습니다. ‘작은 고추가 맵다.’는 말은 키 작은 사람이 대체로 야무지다는 사회적 인식의 발현이었고, ‘키 큰 사람 치고 안 싱거운 이 없다.’는 말은 키가 큰 사람의 실속없음을 빗댄 말이지요. 그랬던 것이 세상이 바뀌어 요새는 ‘키 작은 사람은 루저(패배자)’라고까지 여기게 됐으니, 상전벽해가 아닐 수 없습니다.

어느 시대이든 사람을 키로 재단하는 건 몰상식임에 틀림없습니다. 변질된 세태를 인정하더라도 한 자연인에게 있어 키는 결코 자의적인 선택사항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부모가 선택적으로 물려줄 수 있는 옵션도 아닙니다. 다시 말해, 인간의 의지와는 무관한 조건이지요. 그렇다고 보면 큰 키가 우월함의 상징이 아니듯 작은 키가 열등의 준거일 수도 없는 일이지요.당연히 그래야 하지만, 세상은 좀 다릅니다. 자녀들 키 때문에 안달인 부모들이 많습니다. 키가 곧 자식의 운명이라도 되는 양 설레발이 장난이 아닙니다. 예전에 그랬듯 키가 좀 작으면 속이 꽉 찬 야무진 사람으로 키우면 될 일을 부모들이 나서 안달이니 애들 가슴에 남는 건 콤플렉스뿐이지요. 생각해보니 좀 지나친 듯 해서 해본 말입니다.

jeshim@seoul.co.kr

2012-04-02 2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