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에도 녹조라떼, 낙동강 일부 구간서 녹조 발생

6월에도 녹조라떼, 낙동강 일부 구간서 녹조 발생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07-07 13:45
업데이트 2020-07-07 1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칠서 지점 지난달 29일 조류경보 경계 단계 기준 초과

6월부터 낙동강 일부 구간에서 ‘경계’ 수준의 녹조가 발생하면서 먹는 물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환경부는 6월 기준 전국의 녹조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높은 수온 영향으로 낙동강 3곳(강정고령·칠서·물금매리)에서 남조류 개체수가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전국 대부분 상수원에서는 조류경보 기준(유해남조류세포수 1000세포/㎖) 이하로 나타났다.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과 칠서 지점에서는 지난달 18일부터 조류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 중이다. 관심 단계는 유해남조류세포수 1000세포/㎖ 이상 2회 연속 초과시 발령된다. 강정고령 지점은 조류경보 관심 기준을 1회 초과했다. 특히 칠서 지점은 지난달 29일 5만 9228세포/㎖로 측정돼 오는 9일 분석에서 1만세포/㎖ 초과시 조류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될 수 있다.

4대강 16개보 가운데 낙동강 중·하류 7개 보에서 녹조가 발생했다. 환경부는 상수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관찰, 대응키로 했다.

남조류는 유속이 느리고 영양물질이 풍부한 환경에서 수온이 25℃ 이상, 일사량이 높아지면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현재 낙동강을 제외하고 녹조 발생이 없지만 우기에 강한 햇빛과 폭염시 정체 수역을 중심으로 남조류 증가가 예상된다.

환경부는 무인기(드론)와 환경지킴이 등을 활용해 오염원을 점검하고, 녹조 발생시 취수탑 부근에 차단막을 설치하는 등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녹조가 발생한 낙동강은 취·정수장에서 조류 유입 방지시설을 가동하고 활성탄 교체 주기도 단축한다.

한편 조류경보제 운영지점의 녹조 발생에 관한 정보는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정보시스템(water.nier.go.kr)에서 매주 공개하고 환경부 누리집(www.me.go.kr)에는 녹조대응 정보방을 개설해 주간 녹조 발생과 대응조치 현황을 제공하고 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