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초미세먼지, 베이징과 비슷…車 배출가스·화력발전 영향 뚜렷

서울 초미세먼지, 베이징과 비슷…車 배출가스·화력발전 영향 뚜렷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01-22 22:40
업데이트 2020-01-23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단 발표

이미지 확대
서울 화석연료 연관 물질 2배 높아
“中 영향과 주변 오염물질 유입 추정”
역추적으로 미세먼지 저감 활용 기대


서울과 중국 베이징의 초미세먼지(PM2.5) 성분이 처음 공개됐다. 공장 등 배출사업장과 석탄발전, 자동차 배출가스 등의 영향이 컸지만 국가 상황을 반영하듯 일부 차이도 확인됐다.

22일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단’이 2017년부터 중국 베이징 등 북동부 지역 4개 도시에서 진행한 초미세먼지 특성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베이징과 서울의 초미세먼지 성분은 질산암모늄·황산암모늄·유기물질·지각물질 등으로 비슷했다.

다만 조성비가 베이징은 질산암모늄 22%, 황산암모늄 11%, 유기물질 44%, 지각물질 등 23%였다. 서울은 질산암모늄 25%, 황산암모늄 25%, 유기물질 28%, 지각물질 등 22%로 분석됐다. 자동차 배출가스와 관련 있는 질산암모늄과 자연 발생하는 지각물질 비율은 비슷했지만, 석유·석탄 등 화석연료와 연관된 황산암모늄은 서울이 오히려 2배 높았다. 베이징은 연소 효율이 떨어지고 바이오매스를 사용해 유기물질 비율이 서울의 1.5배에 달했다. 또 질산암모늄은 2017년 기준 고농도 초미세먼지가 발생했을 때 베이징에선 10% 이상, 서울에서는 22%로 서울의 증가폭이 컸다. 두 도시 모두 교통 부분 발생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국내 배출원은 공장 등 배출사업장이 38.2%를 차지하고 석탄발전(25.5%), 경유차(23.0%) 등의 순이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중국의 질소·황산암모늄 비중이 작아진 것은 화석연료 사용을 줄인 에너지 구조조정 효과로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대형 배출원이 없는 서울의 황산암모늄이 높은 것은 중국의 영향과 화력발전 등 주변 지역 오염물질 유입이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다만 2017년 서울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25㎍/㎥인 데 비해 베이징은 53㎍/㎥으로 2배 이상 높아 단순 비교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미세먼지 배출원을 역추적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면서 한중 양국 간 미세먼지 저감 협력에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환경과학원은 향후 배출량 현지 조사와 배출항목(인벤토리) 구축 등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20-01-23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