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 수능… 국·영·수 모두 어려웠다

매운 수능… 국·영·수 모두 어려웠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11-17 23:00
업데이트 2016-11-18 0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난이도 높아 상위권 변별력…새달 7일 성적통지표 배부

17일 치러진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와 수학, 영어 영역 모두 지난해보다 대체로 어렵게 출제됐다. 국어에서는 6월·9월 모의평가에서 나오지 않았던 새 유형의 문항이, 수학에서는 변별력을 감안한 고난도 문항이 출제돼 수험생들이 꽤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보인다.

“해방이다”
“해방이다” 전국 1183개 시험장에서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17일 서울 종로구 덕성여고에서 시험을 마친 수험생들이 교문을 나서며 홀가분한 표정으로 손을 흔들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정진갑(계명대 교수) 2017학년도 수능 출제위원장은 이날 세종시에서 열린 출제 방향 브리핑에서 “적정 난이도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6월과 9월 모의평가 난이도와 유사하게 출제했다”며 “오류 없는 문항과 난이도 분포에 신경을 썼다”고 말했다.

지난해 수능에서 수준별(A, B형) 시험으로 치러진 국어 영역은 올해부터 통합형으로 전환됐다. 앞서 두 차례 모의평가에서도 신유형 문제들이 다수 출제돼 지난해 수능보다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올해 수능에서도 이런 기조가 유지된 데다 모의평가에선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출제됐다. 지문도 예전보다 상당히 길어져 시간 부족을 호소한 수험생도 많았다. 지난해 쉽게 출제됐던 수학 역시 가형과 나형에서 상위권을 변별하는 고난도 문제들이 배치되면서 어려웠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모의고사에서 다소 쉽게 나왔던 영어 영역도 지난해 수능과 비슷하거나 어렵다는 분석이 많았다.

전국 85개 시험지구 1183개 시험장에서 시행된 이번 수능에는 모두 60만 5987명이 지원했다. 올해부터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에는 수험생 전원이 지원했다.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오는 21일 오후 6시까지 홈페이지에서 문항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아 심사한 뒤 28일 최종 정답을 발표한다. 성적 통지표는 다음달 7일 배부한다. 성적표에는 영역·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표기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11-18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