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9개 자치구 방과후학교 책임진다

서울시 9개 자치구 방과후학교 책임진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11-07 22:38
업데이트 2016-11-07 2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교육청 체험·전시 등 지원

서울 도봉구 초·중학교 학생들은 수업이 끝나면 동네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찾아 작품을 감상하고, 나아가 직업 체험을 하거나 작가 인터뷰 등도 진행한다. 학생이 직접 큐레이터가 돼 전시 기획, 작품 제작, 전시장 구성 등을 해 보기도 한다. 도봉구 예술가와 마을 주민 9명이 만든 비영리 시민단체 ‘디큐갤러리’가 진행하는 마을학교 프로그램 ‘동네방네 미술관’의 일환이다. 도봉구는 매년 4월이면 이런 마을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할 시민단체를 모집해 학교와 이어 주고 있다. 3명 이상의 단체가 교육 커리큘럼을 제출하면 구가 심사해 한 해 150만~300만원의 운영지원금을 준다. 지난해 25개 단체가 처음 참여했다. 올해에는 69개 단체가 지원을 받는다.

서울시교육청이 내년부터 도봉구 사례처럼 자치구의 주민이나 예술가 등으로 구성된 단체 또는 협동조합과 학생을 잇는 ‘마을방과후학교’를 확대·시범 운영한다고 7일 밝혔다.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양천구, 구로구, 금천구 등 9곳이 참여한다. 운영주체와 운영방법에 따라 ▲학교 지원형 마을방과후학교 ▲마을 공급형 방과후학교 ▲개별 학교 맞춤형 마을방과후학교 ▲사회적 협동조합형 마을방과후학교로 나뉜다.

마을방과후학교는 방과 후 수업이 교과 중심으로 운영되면서 학교에 업무 부담을 주고 사교육기관의 위탁 경쟁 등으로 변질되는 문제점을 시교육청이 자치구와 함께 풀어 나가겠다는 의도로 확대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11-08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