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10명 중 6∼7명 자유학기제 몰라”<입시업체>

“중학생 10명 중 6∼7명 자유학기제 몰라”<입시업체>

입력 2013-08-19 00:00
업데이트 2013-08-19 09: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학생 10명 중 6∼7명이 올해 2학기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가는 자유학기제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행된다면 찬성한다는 응답률은 80%에 달했다.

중학생 학원브랜드인 비상아이비츠는 지난 7월 29일부터 8월 7일까지 전국 중학생 1천7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65%가 자유학기제에 대해 ‘전혀 모른다’(42%) 혹은 ‘명칭은 들어봤지만 내용은 모른다’(23%)고 답했다고 19일 밝혔다.

진로탐색 등 자유학기제 시행 취지를 제대로 아는 학생은 16%에 불과했다.

자유학기제를 시행한다면 찬성한다는 응답률은 79%를 차지했다.

찬성하는 이유로는 ‘고교 진학 전 진로 결정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라는 답변이 45%로 가장 많았고, ‘한 학기라도 시험에서 해방되면 꿈을 고민할 여유가 생겨서’(27%), ‘동아리나 체험활동이 입시 및 자기소개서에 도움이 돌 것 같아서’(16%), ‘공부를 안 해도 되는 수업시간이 늘어나서’(8%)가 뒤를 이었다.

반면, 반대하는 학생은 ‘교과수업도 받고 체험활동까지 하려면 너무 바쁘고 힘들기 때문에’(28%), ‘시험을 안 보면 학업 수준이 많이 떨어질까 봐 걱정돼서’(24%), ‘한 학기만으로는 진로탐색이 별로 효과가 없을 것 같아서’(24%) 등을 이유로 들었다.

자유학기제에 반대하는 비율은 1학년 18%, 2학년 21%, 3학년 25% 등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아졌다.

자유학기제가 시행된다면 가장 하고 싶은 활동으로는 가장 많은 40%가 ‘예술·체육’을 꼽았다.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어디까지 고민했느냐는 질문에는 43%가 직업, 17%가 대학·전공학과, 18%가 고교 입시·계열이라고 밝혔다.

’좋아하는 과목과 희망하는 직업 간 연관성이 높다’는 응답자는 39%, ‘희망 대학 전공과 비슷한 계열’이라는 응답은 23%였다.

’좋아하는 과목과 진로는 거의 연관이 없다’거나 ‘좋아하는 과목이나 진로가 너무 자주 바뀐다’는 응답은 각각 27%와 11%가 나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