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미래 해양 이동수단 인재양성 공동훈련센터 추진

울산 미래 해양 이동수단 인재양성 공동훈련센터 추진

박정훈 기자
박정훈 기자
입력 2023-01-26 11:29
업데이트 2023-01-26 11: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울산시·해수부, 26일 ICT융합 스마트선박 ‘울산태화호’ 활용안 논의

이미지 확대
울산태화호.
울산태화호.
미래 해양 이동수산 인재양성 공동훈련센터가 울산에 추진된다.

울산시는 26일 국내 첫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전기추진 스마트 선박인 ‘울산태화호’에서 해양수산부와 함께 태화호 활용을 위한 선상 회의를 개최한다.

이 회의는 지난 연말 열린 울산태화호 명명식에서 해수부에 ‘울산태화호를 해양 이동수단 인재 양성에 활용하자’고 요청해 마련됐다.

회의에는 울산시, 라, 한국해양수산연구원,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SS해운, 휴맥스모빌리티 등 관련 기관·기업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다.

이날 참석자들은 미래 해양 이동수단 인재 양성을 위한 공동훈련센터 구축·운영을 위한 업무 협력과 추진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논의 사항은 스마트 선박과 기자재 운영 실습, 전기추진 선박 안전실증과 방폭시설 인증 교육, 자율운항선박 시험선 실증과 운항 시뮬레이션 교육, 항만 안전과 통신기자재 검·인증 교육 등이다.

울산시는 이날 동구 고늘지구에 해수부·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연구 거점을 구축하고, 조선·해운 혁신기관의 특화된 시설과 장비를 활용해 인재를 육성하는 방안 등 지원책을 해수부 적극적으로 요청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이날 회의를 토대로 울산에 구축된 혁신기관들의 다양한 시설·장비 활용과 연계한 해양 이동수단 인재 양성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울산태화호는 산업부와 시가 448억원을 투입해 제작한 국내 첫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직류기반 전기추진 스마트 선박이다. 무게 2700t에 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울산태화호의 운항 속도는 최대 16노트(시속 30km)에 달한다. 국내 기술로 개발된 기자재가 90% 이상 적용돼 앞으로 실증 성능 시험장, 교육, 연구, 해상관광 등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울산 박정훈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