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익 “전통대로면 차례 음식 남성이, 여성들 노시라”

황교익 “전통대로면 차례 음식 남성이, 여성들 노시라”

이하영 기자
입력 2023-01-22 16:45
업데이트 2023-01-22 16: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페이스북서 차례 음식 관련 글 잇따라 게시
“전통적인 설 풍습은 무엇이냐 하면, 노는 거”

이미지 확대
맛칼럼니스트 황교익씨 페이스북
맛칼럼니스트 황교익씨 페이스북
맛칼럼니스트 황교익씨가 설 연휴를 맞아 “유교의 전통대로 하자면, 차례 음식은 남성이 다 알아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씨는 지난 21일 페이스북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게시글을 통해 “여성 여러분은 차례 음식 앞에서 물러나서 노시라. 그게 유교의 전통”이라고 했다. 그는 “설 차례는 음력 1월 1일에 유교를 믿는 남성끼리 지내는 종교 행사이고, 우리의 전통 춘제인 설 풍습 전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통적인 설 풍습은 무엇이냐 하면, 노는 거다. 대보름을 넘기면 농사를 시작해야 하니까 그 전에 먹고 마시고 춤추고 노래하며 노는 게 설의 전통적 풍습”이라고 적었다. 이어 “대한민국 정부는 한민족이 농경을 시작한 이래 수천년 이어온 설 풍습의 전통을 이어받아 섣달그믐부터 정월대보름까지를 법정 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그는 또다른 게시글을 통해 “유교 전통 차례상 논쟁을 하고 싶거든 이 기사부터 읽으시라. 인터뷰할 때가 추석이라 추석 차례상을 중심으로 말을 했으나 설 차례상이라고 다르지 않다”면서 2014년 오마이뉴스 인터뷰 기사를 공유했다.

해당 인터뷰에서 황씨는 “추석 차례상에는 제철에 나는 음식 몇가지 올리면 족하다. 중요한 건 형식이 아니라 조상을 기억하려는 마음”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차례상 구성에 집착하기보다는 우리가 추석 명절을 왜 지내는지 그 취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전통 좋아하는 남자들 추석 제대로 하려면 여자들한테 명절 음식 시키면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조선시대 때 제사음식은 다 남자가 만들었다. 대신 차례에 여자들은 빠졌다. 그런데 지금은 명절 고생은 여자들이 다 하고 남자들은 차례상 앞에서 생색만 내지 않나. 이것도 근본을 찾아볼 수 없는 이상한 풍경”이라고 말했다.
이하영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