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치료받지 못한 사망자’ 충청권서 1년에 2400명 넘어

‘적절한 치료받지 못한 사망자’ 충청권서 1년에 2400명 넘어

이종익 기자
이종익 기자
입력 2023-01-21 13:07
업데이트 2023-01-21 13: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만 명당 치료가능 사망률’… 충남 44명
지역격차 “치료받을 권리 충분한 보장 안돼”

이미지 확대
시술 장면. 기사와 관련 없음.
시술 장면. 기사와 관련 없음.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사망자가 한 해 2400명을 넘어선다는 조사가 발표됐다.

충남과 충북은 전국 광역 시·도중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부족한 의료 취약지역으로 나타났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7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2020년을 기준으로 한 ‘지역 의료격차 실태조사’를 최근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충청지역 ‘치료가능 사망자’는 대전 620명, 세종 122명, 충남 948명, 충북 809명 등 총 2499명이다.

‘인구 10만 명당 치료가능 사망률’은 충북이 50.56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았고, 충남은 44.70명으로 전국 평균(43.80)을 상회했다.

‘치료가능 사망률’은 적절하게 효과적으로 이뤄졌다면 살릴 수 있는 죽음으로, 성·연령 표준화를 거친 단위 인구당 사망률을 의미한다.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의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평균은 ‘0.79’명으로 충남(0.49)과 충북(0.54명)이 전남(0.47명)에 이어 가장 의사 수가 적었다. 의사 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1.59명), 광주(1.04명), 대전(1.03명) 등으로 충남과 충북의 2배 수준이다.

경실련은 “모든 국민은 차별 없이 국가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하지만, 지역 의료자원의 부족으로 인한 지역 간 격차로 치료받을 권리가 충분히 보장되지 않고 있다”며 “국가가 직접 공공의과대학을 신설해 선발·지원·교육·훈련 등을 규정하는 별도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안 이종익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