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삶의 질 높여줄 SW 개발 이젠 ‘격리형’에서 ‘놀이형’으로

노인 삶의 질 높여줄 SW 개발 이젠 ‘격리형’에서 ‘놀이형’으로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20-09-15 20:58
업데이트 2020-09-16 02: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신문-매니페스토본부-12개 지자체 ‘노인정책 전환’ 업무협약

노인정책전환포럼 실무협 결성 지원 등
초고령화 시대 대비 협력관계 구축 결의


원희룡 “놀이 중심으로 정책 전환 땐
제주형 통합돌봄 완성도에 도움 기대”
이미지 확대
1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국화홀에서 열린 ‘노인 정책 전환 모색을 위한 업무 협약(MOU) 체결식’에 참석한 고광헌 서울신문 사장과 이광재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 전국 2개 시도 및 10개 시군구 자치단체장이 ‘파이팅’을 외치면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채현일 영등포구청장, 이정훈 강동구청장, 이승로 성북구청장, 김선갑 광진구청장, 정원오 성동구청장, 원희룡 제주도지사, 고 사장, 이 사무총장, 양승조 충남도지사, 김정섭 충남 공주시장, 박성일 전북 완주군수, 김정식 인천 미추홀구청장, 김태석 부산 사하구청장, 김병내 광주 남구청장.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1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국화홀에서 열린 ‘노인 정책 전환 모색을 위한 업무 협약(MOU) 체결식’에 참석한 고광헌 서울신문 사장과 이광재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 전국 2개 시도 및 10개 시군구 자치단체장이 ‘파이팅’을 외치면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채현일 영등포구청장, 이정훈 강동구청장, 이승로 성북구청장, 김선갑 광진구청장, 정원오 성동구청장, 원희룡 제주도지사, 고 사장, 이 사무총장, 양승조 충남도지사, 김정섭 충남 공주시장, 박성일 전북 완주군수, 김정식 인천 미추홀구청장, 김태석 부산 사하구청장, 김병내 광주 남구청장.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서울신문과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초고령화 시대를 앞두고 노인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꾸기 위해 뜻을 모았다. 단순히 시설 구축 등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것에서 한 걸음 나아가 노인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소프트웨어 마련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15일 오후 4시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국화홀에서는 ‘노인 정책 전환 모색을 위한 업무 협약(MOU) 체결식’이 열렸다.

이날 현장에는 고광헌 서울신문 사장과 이광재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을 비롯해 양승조 충남도지사와 원희룡 제주도지사, 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 김선갑 광진구청장, 이승로 성북구청장, 이정훈 강동구청장, 채현일 영등포구청장, 김정섭 충남 공주시장, 김정식 인천 미추홀구청장, 김태석 부산 사하구청장, 김병내 광주 남구청장, 박성일 전북 완주군수 등 전국 2개 시도 및 10개 시군구 자치단체장이 한자리에 모였다.

참석자들은 노인정책 전환을 위한 협력관계 구축과 시설격리형에서 놀이형 노인정책으로의 전환, 노인정책전환포럼 구성을 위한 실무협의회 결성 지원 등을 결의했다. 이날 협약식을 찾은 양 충남도지사는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기대수명이 늘어나고 있지만, 사회관계 부족 등 사회적 여건이 미흡해 건강수명은 정체되고 있는 상황”이라며서 “여기 한뜻으로 모인 분들과 함께 전 사회적 대응을 통해 건강 사회에 가까이 갈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원 제주도지사는 “제주도는 노인과 장애인을 지역사회가 함께 돌보는 통합돌봄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면서 “시설격리 중심에서 놀이 중심으로 정책의 전환을 가져온다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제주형 통합돌봄 사업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사무총장은 “오늘 협약이 시설격리형 노인정책에서 놀이형 노인정책으로 전환의 첫걸음”이라면서 “서울신문과 충남도 등 자치단체 등과 함께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노인정책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20-09-16 2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