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0명”…의사들 기피하는 흉부외과 열악한 노동 실태

“전공의 0명”…의사들 기피하는 흉부외과 열악한 노동 실태

곽혜진 기자
입력 2020-09-14 18:58
업데이트 2020-09-14 2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흉부외과 전문의 하루 평균 12.7시간 근무

이미지 확대
서울아산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출근을 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0.9.7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서울아산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출근을 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0.9.7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이른바 ‘기피과’로 분류되는 흉부외과 의사 절반이 현재 일하는 병원에 전공의가 한 명도 없다고 답한 설문 결과가 나왔다.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는 국내 흉부외과 전문의 385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18일부터 12월 1일까지 근무 현황과 행태를 조사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또 이들은 하루 평균 13시간 가까이 일하는 등 일상적으로 초과 근무를 하고 있다고도 했다.

특히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소속 전문의 327명에 설문한 결과, 소속 병원에 ‘흉부외과 전공의가 한 명도 없다’는 응답이 48.9%를 차지했다. 전공의가 있는 경우 2∼4명이라는 응답이 18.3%로 가장 많았다. 전공의가 1명뿐이라는 응답은 12.2%였다.

업무 강도는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급 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327명의 평일 기준 하루 근무시간은 평균 12.7시간이었다. 주당 63.5시간을 일하는 셈이다. 전체 응답자의 7%가량은 매일 16시간 이상을 일한다고 답했다.

흉부외과 전문의 대부분은 주말 중 하루는 출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 달 평균 당직 일수는 평균 5.1일로 매주 하루나 이틀은 병원에서 밤샘 근무를 했다. 응급 상황에 대비해 대기 근무를 하는 경우는 한 달에 10.8일이었다.

설문에서 흉부외과 전문의들은 “전공의가 없으니 월급(이 적고), 대우(가 안 좋고), 승진에서 불리하고, 전공의 역할까지 하지만 오히려 전공의 없는 과로 차별받는다”거나 “의사들은 부족한데 병원에서는 봉사만 요구하고 (무엇보다) 젊은 의사들이 없어 절망적”이라는 등의 의견을 남겼다.

이 밖에도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소속 흉부외과 전문의 51.7%는 ‘번아웃’(탈진)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한 환자의 안전이 걱정된다고 응답한 전문의가 93.9%에 달했다. 실제 48.6%는 과중한 업무로 환자에게 위해를 가한 상황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