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본과 4학년 81%, ‘국가고시 거부’ 반대” (종합)

“서울대 의대 본과 4학년 81%, ‘국가고시 거부’ 반대” (종합)

임효진 기자
입력 2020-09-08 21:34
업데이트 2020-09-08 2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21년도 제85회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첫날인 8일 서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에서 국시원 관계자들이 의사 국시생을 보호하기 위해 가림막을 설치하고 있다. 2020.9.8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
2021년도 제85회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첫날인 8일 서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에서 국시원 관계자들이 의사 국시생을 보호하기 위해 가림막을 설치하고 있다. 2020.9.8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
서울대 의과대학 본과 4학년 학생의 81%가 동맹휴학 및 의사 국가고시를 계속 거부하는 데 반대한다고 밝혔다.

8일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 학생회는 재학생 884명을 대상으로 동맹휴학과 의사 국가고시 응시를 거부하는 데 대한 내부 설문조사를 벌였다. 해당 설문조사에는 재학생 745명(84%)이 참여했다.

그 결과 70.5%가 “현시점에서 단체행동(동맹휴학 및 국시 거부)을 지속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특히 올해 의사 국시를 치러야 하는 본과 4학년은 81%가 단체행동 지속을 반대했다. 본과 4학년 학생의 80%가 이 설문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체행동 지속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학년별로 차이가 있었다.

본과 3학년은 75%, 본과 2학년은 60%, 본과 1학년은 55%가 단체행동을 지속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예과 1학년과 2학년은 단체행동 지속을 반대하는 응답이 86%와 70%였다.

다만, 서울대 의과대학 학생회는 이러한 내부 의견에도 불구하고 아직 공식 입장을 내지는 않고 있다.

이광웅 서울대병원 교수 비대위원장(서울대병원 외과 교수)은 “교수들은 학생들의 결정을 전적으로 존중하고 지원한다”며 “의대협(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에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논의하고 선택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의대생들이 국시에 응시할 수 있게 돼야 혼란스러운 의료계 상황이 정리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위원장은 “아직도 일부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는 등 사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이유는 의대생 국시 문제가 남아있기 때문”이라며 “현시점에서 의대생들의 국시 응시 여부 및 동맹 휴학에 대한 퇴로를 열어주어야 사태의 핵심 고리가 풀린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학생들의 의사 표명에 발맞춰 정부 또한 국시 재접수 진행 등의 아량을 베풀어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