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민·관·정 똘똘뭉쳐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 원천 무효” 주장

광명시 민·관·정 똘똘뭉쳐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 원천 무효” 주장

이명선 기자
입력 2020-07-31 13:06
업데이트 2020-07-31 1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승원(왼쪽서 3번째) 광명시장과 박성민 광명시의회 의장, 임오경·양기대 국회의원 등이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로차량기지이전 반대결의를 하고 있다. 광명시 제공
박승원(왼쪽서 3번째) 광명시장과 박성민 광명시의회 의장, 임오경·양기대 국회의원 등이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로차량기지이전 반대결의를 하고 있다. 광명시 제공
경기 광명시민과 광명시·광명정치권이 똘똘 뭉쳐 31일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원천 무효’를 선언하며 공동 행동에 나섰다.

광명시는 31일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반대 공동대책위원회와 박승원 광명시장, 박성민 광명시의회 의장, 임오경·양기대 국회의원 등은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력히 이전반대를 결의했다.

이들은 공동기자회견문을 통해 “국토교통부가 아무런 명분도, 타당성도 없는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을 강행하고 있다”며 “구로구민 민원 해소를 위해 광명시민 희생을 강요하는 일방적인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또 “차량기지는 광명 발전을 가로막고 도덕산과 구름산 산림축을 훼손한다”며 “차량기지 주변 노온정수장 오염으로 수도권 시민 100만명 생명권이 위협받고, 시 한가운데 있어 미래 발전가능성을 저해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국토부가 차량기지 이전 조건으로 제시한 20분 간격의 셔틀전동열차 운행은 광명시민이 원하는 대중교통수단이 아니다”며 “국토부는 피해지역인 광명시를 패싱하고 오히려 총사업비와 이전 용지를 증액하고 확대하고 있다. 정확한 조사인지도 의문”이라고 했다.
이미지 확대
경기 광명시민을 비롯해 광명시 정치권이 총출동해 서울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을 반대하고 있다. 광명시 제공
경기 광명시민을 비롯해 광명시 정치권이 총출동해 서울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을 반대하고 있다. 광명시 제공
광명시민들은 국토부의 일방적인 차량기지 광명 이전은 원천 무효라고 주장하고, 기자회견을 기점으로 대규모 집회와 1인 시위, 범시민 서명운동, 정치·행정적 대응 등에 한 몸 한 뜻으로 나서기로 했다.

서울 구로차량기지는 1974년 8월 지하철 1호선이 개통하고 한 달 뒤 구로구 구로동 일대에 조성된 전동차 수리·점검소다. 이 일대가 도심화하면서 소음·진동, 도시 단절 등에 따른 구로구민 민원이 꾸준히 제기됐다.

민원으로 촉발한 차량기지 이전 논의는 2005년 6월 국무회의 안건에 상정되면서 가시화했고, 서울 외곽인 구로구 항동과 부천·광명 등이 이전 후보지로 검토됐으나 해당 지자체들의 반발에 막혀 표류했다.

그러자 국토부는 광명·시흥 보금자리지구 지정과 함께 차량기지 지하화 등 조건을 내세워 광명이전을 추진했다.

하지만 보금자리지구는 LH 경영성 악화로 지정 4년 만에 해제됐고, 사업비 증가를 이유로 차량기지 지하화는 반영되지 않았다.

그런데도 국토부는 변경된 사업 여건에 대한 고려 없이 2016년 KDI의 권고사항도 무시한 채 올해 안에 철도건설 기본계획을 고시하기로 하는 등 2026년까지 차량기지 광명 이전 계획을 강행하고 있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