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단체, “고래류 벨루가 폐사…남은 두 마리 방류해야”

동물단체, “고래류 벨루가 폐사…남은 두 마리 방류해야”

이성원 기자
입력 2020-07-24 13:38
업데이트 2020-07-24 1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핫핑크돌핀스, 카라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화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이들은 여수 한화 아쿠아플라넷의 흰돌고래 ‘벨루가’ 폐사에 대한 한화 측의 책임과 남은 벨루가의 방류를 촉구했다. 연합뉴스
핫핑크돌핀스, 카라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화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이들은 여수 한화 아쿠아플라넷의 흰돌고래 ‘벨루가’ 폐사에 대한 한화 측의 책임과 남은 벨루가의 방류를 촉구했다. 연합뉴스
“한화는 폐사한 벨루가에 윤리적 책임을 지고 남은 벨루가들을 방류하라.”

동물권행동 카라와 동물자유연대 등 동물권단체들은 24일 서울 중구 한화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처럼 주장했다. 이들은 “여수 한화아쿠아플라넷에 살던 벨루가 3마리 중 12살 수컷 ‘루이’가 지난 20일 죽었다”며 “고래류가 아쿠아리움에서 정상적으로 살 수 없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증명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야생 벨루가의 평균 수명은 30년 이상이다.

이들은 “바다에서 수천㎞ 거리를 이동하고 수심 700m까지 잠수하는 벨루가에게 고작 7m 깊이의 수조는 감옥과 같다”며 “이번 벨루가 폐사 사건은 아쿠아리움 사업이 지속 가능하지 않고, 비윤리적이라는 것을 만천하에 드러냈다”고 밝혔다. 또 “한화는 남은 벨루가 두 마리에 대한 방류를 즉시 결정하고 더 이상의 해양포유류 수입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핫핑크돌핀스, 카라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화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이들은 여수 한화 아쿠아플라넷의 흰돌고래 ‘벨루가’ 폐사에 대한 한화 측의 책임과 남은 벨루가의 방류를 촉구했다. 연합뉴스
핫핑크돌핀스, 카라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화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이들은 여수 한화 아쿠아플라넷의 흰돌고래 ‘벨루가’ 폐사에 대한 한화 측의 책임과 남은 벨루가의 방류를 촉구했다. 연합뉴스
고래목에 속하는 벨루가는 최대 몸길이 4.5m, 무게 1.5t, 평균 수명은 30~35년이다. 주로 북극해와 베링해, 캐나다 북부해 등에 서식한다. 지난해 10월에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에서 수컷 벨루가 한 마리가 폐사했다. 이에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측은 남은 암컷 벨루가의 건강을 고려해 자연 방류하기로 결정했다.

여수 한화아쿠아플라넷 관계자는 “정확한 사인규명을 위해 현재 부검이 진행 중”이라며 “벨루가들은 여수엑스포 재단 측 자산이기 때문에 방류 여부 등을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 재단과 협의해 논의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