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평균 웃도는 충청·호남 전파력…전문가 “전국서 거리두기 격상해야”

전국 평균 웃도는 충청·호남 전파력…전문가 “전국서 거리두기 격상해야”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07-06 22:16
업데이트 2020-07-07 06: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주간 재생산지수 1.34… 전국 평균 1.06
방역당국 “2단계 조치, 종합적 고려해야
공기 감염, 가능성 있지만 위험도는 몰라”

이미지 확대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 연합뉴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
연합뉴스
최근 1주간 충청·호남권의 코로나19 전파 위험이 전국 평균을 넘어섰다. 충청·호남권에 퍼진 코로나19는 대구에서 유행한 것보다 전파력이 높은 변이 바이러스여서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분석이 나온다. 코로나19가 지역사회 곳곳을 위협하기 이전에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1단계에서 2단계로 격상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6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최근 1주일간 충청·호남권의 감염병 재생산지수는 1.34였다. 이는 환자 1명이 1.34명에게 감염병을 전파할 수 있다는 의미다. 전국 평균은 1.06이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브리핑에서 “대전과 호남 쪽 재생산지수가 1보다 높게 유지되는 상황”이라면서 “(광주) 광륵사 금양빌딩 관련 감염 유행이 증폭되면서 호남권의 발생·전파 위험이 가장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2주간 대전·충청, 대구·경북, 광주·전남 등 비수도권 지역 하루 환자 수는 11.7명으로 종전 3.4명에 비해 3배가량 늘었다. 게다가 이들 지역에 퍼진 바이러스는 유럽·북미에서 유행하는 ‘GH 그룹’으로, 증식이 잘되고 인체 세포와의 결합력도 높은 변종이다.

32개국 과학자 239명이 세계보건기구(WHO)에 공기 감염을 경고하는 공개 서한을 보내는 등 에어로졸(공기)전파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정 본부장은 “작은 비말은 수분이 증발하면서 가벼워져 공기 중에 오랜 시간 부유할 수 있다”며 “좁은 공간에서 이를 통해 전염될 가능성은 있다고 본다. 다만 (위험도가)어느 정도인지는 좀더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기 전파가 가능하다면 KF94 등급의 마스크를 착용해야 바이러스를 차단할 수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여러 위험 요소를 고려해 지금이라도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나온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전국적으로 거리두기를 확대해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기석 전 질병관리본부장도 “거리두기를 4단계로 세분화해 전국에 2단계를 선언하고, 지방자치단체를 권역별로 묶어 한 지자체에서 코로나19가 터지면 해당 권역의 거리두기를 올리는 방식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2단계 조치를 전국적으로 시행했을 때 미칠 사회·경제적 여파를 충분히 고려하며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07-07 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