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28년 만에 핵실험 재개하나…“러·중 협상에 유용할 것”

미국, 28년 만에 핵실험 재개하나…“러·중 협상에 유용할 것”

곽혜진 기자
입력 2020-05-23 19:39
업데이트 2020-05-23 19: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도덜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도덜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미국이 28년 동안 중단했던 핵실험을 재개할 움직임이 감지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는 22일(현지시간) 미 행정부 고위 관료의 말을 인용해 지난 15일 국가 안보기관 수장들이 모인 회의에서 이 같은 논의가 오갔다고 보도했다. 회의에서는 러시아와 중국의 최근 핵실험 의혹이 의제로 올랐던 것으로 전해졌다.

WP에 따르면 한 고위 관계자는 “미국도 핵실험을 한다면 러시아, 중국과 핵 군축 협상을 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다”며 “회의에서 핵실험 재개 여부에 대한 결론이 나지는 않았지만,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또 다른 관계자는 “회의에서 핵실험을 재개하기보다는 다른 방식으로 러시아와 중국에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결론 났다”고 전했다.

이 같은 핵실험 재개 움직임에 대해 국가핵안보국(NNSA)은 강력히 반대했다고 복수의 정보통이 전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측은 입장 표명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최근 몇 달간 러시아와 중국이 폭발력이 낮은 저위력 실험을 실시해 핵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무수율 실험 기준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정부는 새로운 핵실험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공언했지만, 만약 러시아나 중국이 협상을 거부할 경우에는 번복하겠다는 입장이다. 미국은 1992년 이후 핵실험을 중단한 상태다.

따라서 이번 논의는 러시아와 중국을 겨냥해 미국이 언제든 핵실험을 재개할 수 있다는 일종의 ‘경고장’을 날린 것으로 풀이된다.

미 군축협회(ACA)의 다릴 킴벨 사무국장은 “미국이 핵실험을 하면 다른 핵보유국도 마찬가지로 추진할 것”이라며 “전례 없는 핵무장 경쟁을 초래하고, 북한도 핵실험 중지를 준수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 대북 협상에도 방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