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2027년 ‘완전 자율주행차’ 시대 대비 교통사고 분석 기반 연구 착수

경찰, 2027년 ‘완전 자율주행차’ 시대 대비 교통사고 분석 기반 연구 착수

이성원 기자
입력 2020-05-10 22:32
업데이트 2020-05-11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자율주행 차량은 기술 수준을 총 다섯 단계로 구분하며, 4단계 이상이면 독서를 하며 주행할 수 있다. 사진은 자율주행 차량 개념도. 국토교통부 제공
자율주행 차량은 기술 수준을 총 다섯 단계로 구분하며, 4단계 이상이면 독서를 하며 주행할 수 있다. 사진은 자율주행 차량 개념도.
국토교통부 제공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교통사고 분석을 위한 기반 마련 연구에 착수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소는 “완전 자율주행차(레벨 4)의 상용화 시기가 2030년에서 2027년으로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분자율주행차(레벨 3) 안전기준이 제정되면서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자동차로유지’ 기능이 탑재된 자율주행차량 판매가 가능해진다”며 이처럼 밝혔다. 경찰청과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등 4개 부처는 2021~2027년 총사업비 1조 974억원을 들여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혁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20-05-11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