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기수업을 원격으로…예술대 학생들 등록금 반환 요구

실기수업을 원격으로…예술대 학생들 등록금 반환 요구

곽혜진 기자
입력 2020-05-06 15:03
업데이트 2020-05-06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예술대학생 네트워크’ 소속 학생들이 6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코로나19 예술대학생 재난 시국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5.6 연합뉴스
‘예술대학생 네트워크’ 소속 학생들이 6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코로나19 예술대학생 재난 시국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5.6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대다수 대학이 1학기 수업을 온라인 강의로 대체하자, 실기수업 비중이 높은 예술대학 학생들이 등록금 반환을 요구했다.

전국 34개 예술대학 재학생들로 구성된 ‘예술대학생 네트워크’는 6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교육부와 대학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등록금을 반환하라”고 주장했다.

학생들은 “코로나19 확산으로 대학가에서도 재난 상황을 선포한 지 꽤 시간이 흘렀지만, 교육부나 대학 책임자들은 비대면 수업 외의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매 학기 (실기수업이 많은) 예술교육의 특수성을 이유로 100만원 가까이 등록금을 추가 납부해왔다”며 “(대학이 코로나19 대응으로 원격수업을 진행했지만) 수업의 질은 낮아지고, (원격수업 외) 다른 대책이 없는데도 차등 등록금은 그대로”라고 꼬집었다.

특히 미술·디자인 등 관련 학과는 원격수업을 진행하더라도 평소와 마찬가지로 실기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때문에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작업실과 연습실을 대여해 추가 지출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또 학생들이 안전 장비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작업하는 점도 문제다.

이들은 “원격수업이 불가능한 예술대학의 실기·실습 수업과 관련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대면 수업으로 전환할 경우, 방역 대책 및 책임 체계를 마련해 학교 구성원의 안전을 보호하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학과별로 등록금을 다르게 책정하는 현행 등록금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학생과 대학, 교육부 등 3자 협의 거버넌스를 구성하도록 촉구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