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거래 의혹’ 박근혜 전 대통령 옥중조사 불발

‘재판거래 의혹’ 박근혜 전 대통령 옥중조사 불발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1-09 14:54
업데이트 2019-01-09 14: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징용소송에 개입한 정황 포착…박 전 대통령 대면조사 거부법원행정처는 ‘朴 개인 법률자문’ 의혹…양승태 소환 앞두고 ‘다지기 수사’

박근혜 전 대통령. 연합뉴스
박근혜 전 대통령. 연합뉴스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양승태(71) 전 대법원장 소환조사를 이틀 앞두고 사법부와 ‘재판거래’를 했다는 의심을 받는 박근혜(67) 전 대통령 조사를 시도했으나 무산됐다.

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수사팀(팀장 한동훈 3차장검사)은 이날 오전 신봉수 특수1부장 등 검사들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 보내 대면조사를 시도했으나 박 전 대통령이 거부했다.

검찰은 박 전 대통령이 조사에 응할 의사가 없음을 거듭 확인한 이상 다시 조사를 시도하지는 않을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대통령은 2017년 10월 이후 재판 출석과 검찰 조사를 거부하고 있다.

다만 검찰은 우병우 전 민정수석을 비롯한 이전 정부 청와대 관계자들을 이미 조사한 만큼 박 전 대통령의 구체적 진술이 없어도 재판거래를 둘러싼 사실관계를 밝히는 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박 전 대통령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전범기업을 상대로 낸 소송을 지연시키고 결론을 뒤집는 대가로 상고법원 설치와 법관 해외파견 등 양 전 대법원장의 숙원사업을 도와주려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검찰은 법원행정처와 청와대·외교부 관계자들을 광범위하게 조사하는 과정에서 박 전 대통령이 위안부 합의 등 한·일 간 외교현안 진행 상황에 맞춰 징용소송 절차에 대해 구체적인 지시를 내린 정황을 확보한 상태다.

박 전 대통령은 우 전 수석을 통해 ‘비선 의료진’ 김영재 원장 측의 특허소송 관련 정보를 수집해달라고 법원행정처에 요청했다는 의혹도 받는다.

검찰은 법원행정처가 ▲ ‘박근혜 가면’ 형사처벌 검토 ▲ 메르스 사태 국가배상 책임 법리검토 ▲ 국정농단 관련 직권남용죄 법리검토 등 여러 사안에 걸쳐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 법률 자문을 해주고 반대급부를 챙긴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11일 양 전 대법원장의 소환을 앞두고 사건 관련자 조사를 마무리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 7일 고영한 전 대법관에 이어 8일에는 박병대 전 대법관을 소환하는 등 양 전 대법원장 재임 시절 법원행정처장을 지내며 재판거래 의혹 등에 연루된 것으로 파악된 전직 대법관들을 재조사했다.

한편 양 전 대법원장은 11일 오전 검찰에 출석하기 직전 대법원 청사 인근에서 사법농단 사태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양 전 대법원장은 지난해 6월1일 경기 성남시 자택 근처 놀이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판에 부당하게 관여한 적이 결단코 없으며 재판을 놓고 흥정한 적도 없다”며 의혹을 전면 부인한 이후 7개월째 잠적 중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