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블로그] 부글부글 경찰

[현장 블로그] 부글부글 경찰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16-11-23 22:56
업데이트 2016-11-23 2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 경위 억울한 죽음” “촛불 눈치보는 처지” “안봉근이 인사 농단”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으로 정국이 혼란스러운 이때 경찰 조직도 뒤숭숭합니다. 2014년 정윤회 문건 유출 당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최경락 경위 사건이 다시 회자되기 때문입니다. 주말마다 이어지는 촛불집회 대응을 두고 갑론을박도 뜨겁습니다. 안봉근 전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이 경찰 인사에 개입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됐죠.

최순실 파문 초기만 해도 경찰의 연관성은 커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최 경위 사건’에 이르러 상황이 바뀌었죠. 그의 동료인 한일 전 경위는 언론 인터뷰에서 당시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이 자신을 회유했던 사실을 밝혔습니다. 최 경위의 형도 당시 지방청 간부가 ‘네(최 경위)가 안고 가라’고 한 뒤 동생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언론에 털어놨습니다.

최 경위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여론이 퍼지는 상황입니다. 경찰 고위 간부는 23일 “당시 청와대에 파견을 갔던 고위직 경찰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며 “최 경위 혼자 책임을 졌다는 게 밝혀진 것 아니냐”고 했습니다. 장신중 경찰인권센터 소장은 강신명 전 경찰청장과 당시 경찰 수뇌부가 최 경위의 억울한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촛불집회에 대해 경찰이 ‘인내 대응’ 기조를 세운 것을 두고도 말이 많습니다. 경찰의 속내는 들끓는 민심과 다를 바 없는데 청와대로 가는 길목을 차단해야 하는 자신들의 처지가 딱하다는 자조적인 의견도 있습니다. 물론 경찰로서 법과 원칙에 따라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도 없지 않습니다. 한 경찰은 “촛불집회 때마다 불법 요소가 많았는데 너무 봐주고 눈치 보는 것 같다”고 불만을 드러냅니다. 안 전 비서관이 경찰 고위직 인사에 개입했다는 의혹 탓에 경찰 수뇌부에 대한 불신도 극에 달했습니다. 지난해 교수신문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인 혼용무도(昏庸無道·어리석은 군주 탓에 세상이 어지럽다)가 올해 경찰 조직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듯합니다.

한 경찰은 “경무관 이상 고위직이 청와대에 줄 댈 생각만 하고 정작 조직을 위해 무엇을 했는지 묻고 싶다”고 토로합니다. 그는 요즘 유행하는 말로 일갈했습니다. “정권 눈치만 보는 경찰 조직을 보면 자괴감이 든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6-11-24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