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계 비선실세’ 차은택 내주 귀국해 檢 조사받을듯

‘문화계 비선실세’ 차은택 내주 귀국해 檢 조사받을듯

입력 2016-11-04 10:54
업데이트 2016-11-04 1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화 분야 국정농단·이권 및 인사 개입 등이 조사 대상

현 정부 ‘비선실세’ 최순실(60·구속)씨의 최측근이자 ‘문화계 황태자’로 군림한 차은택(47)씨가 다음 주 중국에서 귀국해 검찰 조사를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4일 광고업계 등에 따르면 차씨는 최근 변호인을 통해 다음 주 한국에 들어갈 것이라는 입장을 검찰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뜻도 밝혔다고 한다. 다만 정확한 귀국 시점은 미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 관계자도 전날 취재진에 “차씨 변호인과 연락을 하고 있다. (차씨가 한국에) 들어오긴 들어올 것”이라며 귀국을 기정사실로 했다.

차씨의 귀국이 임박함에 따라 문화계 국정농단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도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차씨는 박근혜 정부 들어 대통령 소속 문화융성위원회 위원(2014년), 민관합동창조경제추진단장(2015년) 등을 역임하며 문화계 유력 인사로 갑작스럽게 부상했다.

특히 박 대통령의 ‘40년 지기’인 최씨와의 친분을 바탕으로 문화계 각종 이권 사업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경영에 관여한 광고업체를 통해 대기업·공공기관 광고를 쓸어담는 등 불법·편법으로 사익을 챙겼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차씨가 문화계 고위 공직자 인사에 개입한 정황도 있다.

대학 은사인 김종덕(59) 전 문화체육광관부 장관, 외삼촌인 김상률(56)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숙명여대 교수), 차씨가 ‘대부’로 생각한다는 제일기획 임원 출신 송성각(58)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 등이 대표적인 차씨 인맥이다.

차씨는 또 출연금 강제 모금 사실이 확인된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운영에 일정 부분 역할을 하고 최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했다는 ‘비선 모임’의 멤버로 ‘국정농단’에 관여했다는 의혹도 제기돼 강도높은 검찰 조사가 불가피하다.

검찰은 차씨에 대해 일단 횡령 혐의의 피의자 신분으로 특정해 수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차씨가 전방위로 문화계 이권에 개입했다는 흔적이 곳곳에서 드러남에 따라 수사 과정에서 여러 범죄 혐의가 추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많다.

수사 상황에 따라 김종덕 전 장관, 김상률 전 수석 등도 수사 대상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차씨를 포함한 문화계 비리 수사는 지난달 31일 특별수사본부에 새로 합류한 디지털·개인정보 범죄 전담 부서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손영배 부장검사)가 맡는다.

최순실씨는 안종범(57)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과 공모해 대기업에서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금 명목으로 774억원을 강제로 걷은 혐의 등으로 전날 구속됐다. 검찰은 안 전 수석에게도 이날 중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